개점 전에 300명 대기…"뉴스에 공표된 명단 보고 왔다"
日 '코로나 휴업' 압박하려 파친코명 공개했더니 장사진
일본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는 가운데 당국이 휴업을 압박하기 위해 영업하는 파친코의 이름을 공개했으나 오히려 이용객이 몰렸다.

25일 마이니치(每日)신문에 따르면 전날 일본 오사카부(大阪府)가 상호를 공개하며 휴업을 요청한 오사카부 사카이(堺)시의 한 파친코 업체 앞에는 이날 오전 개점 전부터 이용객이 길게 늘어섰다.

오전 9시 30분을 조금 넘긴 시점에는 순번 표를 받기 위해 약 150명이 대기 중이었는데 1시간 정도 지나 개점할 때가 되니 대기자가 약 300명에 달했다는 것이다.

이 파친코의 주차장에는 고베(神戶)시 번호판을 단 차량이 주차되기도 해 인근 지역에서 원정 게임을 하러 온 이용객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오사카시는 휴업 요청을 따르지 않고 영업하는 파친코 업체 6개의 상호를 전날 공개했다.
日 '코로나 휴업' 압박하려 파친코명 공개했더니 장사진
휴업 요청에 강제력이 없고 따르지 않더라도 벌칙이 없기 때문에 사회적 압력을 가해 휴업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름이 공표된 업체 중 2곳은 휴업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한 업체는 보상이 없으면 휴업할 수 없다고 반응한 바 있다.

한 60대 남성은 "습관이라서 오늘도 왔다.

평소보다 늘어선 손님이 많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반응했다.

와카야마(和歌山)현에서 부인과 함께 파친코를 방문한 남성은 "뉴스에서 공표된 명단을 보고 왔다.

(휴업은) 어디까지나 (당국의) 요청이므로 영업하는 곳이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인근을 산책하던 한 여성(79)은 "멀리서 온 사람들이 바이러스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무섭다"고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영업을 계속한 오사카 파친코업체의 사례를 보면 당국이 이름을 공표하며 휴업을 요청한 것이 오히려 영업 중인 사실을 홍보하는 효과를 낸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도 다른 지자체들도 휴업하지 않은 파친코의 상호를 공표하겠다는 방침이다.

효고(兵庫)현은 관내에 있는 파친코 391개 중 18개가 영업 중인 것으로 파악했으며 27일 이들 업체의 상호를 공표할 방침이라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