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이란과의 갈등 속에 호르무즈 해협에서의 민간 선박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동맹국을 중심으로 한 호위 연합체 구성을 밀어붙이고 있다. 각국이 군함을 보내 세계 원유 물동량의 30%를 차지하는 호르무즈 해협 일부를 맡아 지키는 방식이다. 지난주 동맹국을 대상으로 브리핑을 마친 데 이어 개별 국가를 상대로 호위 연합체 참여를 본격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 국무부와 국방부는 지난 19일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자국 주재 외교단을 불러모아 호르무즈 해협 안보를 위한 브리핑을 열었다. 여기엔 60여 개국이 참가했다. 한국에선 주미대사관의 공사급 및 참사관급 인사가 참석했다.

브라이언 훅 국무부 이란특별대표 등 미 정부 당국자들은 호르무즈 해협 안보와 관련한 미국 정부 구상을 자세히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 자리에선 개별 국가를 상대로 한 동참 요청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브리핑을 통해 미국 구상을 공식화한 만큼 추후 동참 요청 등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전날 백악관에서 미군이 이란 드론(무인기)을 격추했다면서 “다른 나라들이 그들의 선박을 보호하고 앞으로 우리와 함께 일할 것을 요청한다”며 호위 연합체 동참을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호르무즈 해협을 통한 원유 수입이 많은 한국과 일본, 중국을 지목해 참여를 요구하기도 했다.

캐서린 휠바거 미 국방부 차관보 대행은 로이터통신에 “호르무즈 호위 연합체 구성과 관련해 몇몇 나라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지만 어디인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 요청에 영국과 인도, 네덜란드 등이 선박을 보내 호위 연합체에 동참하기로 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선박보호기금 출연 의사를 밝혔다. 다만 프랑스 스페인 등은 이란과의 관계를 고려해 동참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호위 연합체 구성에 대한 미국 구상을 강력히 비판하며 각국에 동참 거부를 요청하고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