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우리사주 보호예수 해제에 따른 오버행(잠재 매도 물량) 우려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이어갔다.30일 LG에너지솔루션은 0.79% 오른 51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에는 전날 종가보다 3.16% 하락한 49만원까지 추락했지만 장 막판에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이날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증권가 최대 관심사 중 하나였다. LG에너지솔루션의 우리사주조합이 보유한 792만 주의 보호예수가 끝나면서 이날부터 거래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1년간의 의무보유기간이 끝난 만큼 우리사주 물량 중 상당수가 시장에 풀릴 것으로 봤다. 현 주가가 공모가보다 70%가량 올랐다는 점도 부담 유인으로 꼽혔다.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방어에 성공한 것은 외국인 매수세 때문이다. 외국인은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을 295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486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외국인은 지난 11일 이후 11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오고 있다. 이 기간 LG에너지솔루션 주가도 7.48% 상승했다.증권가에서는 오버행 이슈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보호예수가 해제된 4조원어치 우리사주 물량 가운데 대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매수 기회로 활용하라는 게 증권가 분석이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7월 996만 주(4.3%)의 보호예수가 해제됐을 때도 유통주식 비율이 높아지면서 코스피200지수 등을 추종하는 기관·외국인 자금 유입이 이어졌다”며 “이번 보호예수 해제 후에도 같은 흐름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이 디스플레이 시장의 주역이 될 것이란 기대감에 관련주가 올 들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LX세미콘은 올 들어 30일까지 10.46% 올랐다. LX세미콘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제작 업체다. 디스플레이 필름 기업 PI첨단소재는 같은 기간 15.40% 상승했다.올해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 패널 점유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OLED 패널 출하량이 전년 대비 7.8%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올해 OLED TV 출하량이 전년 대비 9%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OLED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신제품과 신기술도 잇따라 공개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터치 인식 필름이 필요 없는 ‘대면적 터치 일체형 OLED’ 생산을 최근 시작했다. LG전자는 지난 24일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LG그램’ 신제품을 출시했다.증권업계는 OLED 장비 및 소재 업체도 혜택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이의진 흥국증권 연구원은 “OLED 발광재료 기업 덕산네오룩스의 노트북 OLED 패널 출하량이 전년 대비 43%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OLED 장비 업체 비아트론은 18일 애플에 OLED 디스플레이를 납품하는 BOE사의 중국 청두 공장에 63억원 규모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김철중 미래에셋 애널리스트는 “내년부터 애플 아이패드와 맥북에 OLED 패널이 도입되면서 새로운 모멘텀(상승 동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구교범 기자 gugyobeom@hankyung.com
미국 금융당국이 레버리지 비율이 2배를 넘는 상장지수펀드(ETF) 신규 출시를 금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인기가 많은 TQQQ(나스닥 3배 레버리지)와 같은 상품은 더 이상 출시되지 못하게 됐다.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SEC 18f-4’ 규정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기존에 출시된 레버리지 3배 상품은 거래가 가능하다. SEC는 레버리지 비율 이외에도 상품의 구성, 변동성 등 요건을 더 엄격히 따지겠다는 입장이다.이로 인해 레버리지 비율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영국 시장 등으로 일부 투자 자금이 이동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런던증권거래소는 ETF의 레버리지 비율을 최대 5배까지 허용하고 있다.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