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감에 기술주들이 급락했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항공, 에너지 등 기존의 우량 가치주들은 상승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62.95포인트(0.90%) 오른 2만9420.9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97포인트(0.14%) 내린 3545.5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9.93포인트(1.37%) 하락한 1만1553.86을 기록했다.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큰 부작용 없이 90% 이상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전일 발표했다. 그동안 코로나19의 수혜주로 불렸던 기술주들의 주가가 떨어지면서 나스닥지수도 동반 하락했다. 반면 경기회복 기대감에 우량종목들이 반등하면서 이들 종목들이 포진한 다우지수는 상승했다.

코로나19 치료제 관련해서도 낙관적인 소식이 연일 보도되고 있다.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은 이달 중 미 식품의약국(FDA)에 긴급 사용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르면 연내에 접종이 시작될 수 있을 전망이다. 바이오엔테크는 연내에 5000만 회분, 내년엔 13억 회분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다음 달에 우선순위의 사람들에게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FDA는 일라이릴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다.

코로나19에 따른 봉쇄 조치로 큰 타격을 받았던 항공 및 관광, 에너지 관련 업종 등 경기 민감주들이 상승했다. 보잉 주가는 이날 5.2% 올랐고, 미 석유회사 셰브론과 엑손모빌은 각 4.6%와 2.2% 상승했다.

반면 '언택트' 사회의 수혜 기업으로 꼽혔던 기술주들은 내림세로 돌아섰다. 아마존 주가는 3.5%가량 내렸고, 전일 17.4% 폭락했던 줌은 이날도 9.0% 하락했다. 구글 모기업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MS)도 각각 1.4%와 3.4% 떨어졌다.

미국의 코로나19 감염자 수는 하루 평균 10만 명을 훌쩍 넘었다. 누적 확진자는 1000만 명을 넘어섰다. 900만 명을 돌파한지 열흘 만에 100만 명이 늘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