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 투자신탁운용회사들이 신탁재산에 안고 있는 부실채권의 원본 규모는 총 2조원 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신운용사들은 이중 절반정도인 1조원 가량을 상각처리함으로써 펀드의 수익률을 하락시켜 고객에게 부담시킬 계획이다.

또 펀드 클린화과정에서 판매회사인 증권사와 투신운용사가 떠 안은 부실자산규모는 6천억여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28일 "투신운용사 신탁재산의 부실규모 집계작업이 마무리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은 30일 신탁재산의 부실내역과 함께 투신운용사의 자기자본, 증권사의 영업용순자본비율까지 모두 공개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워크아웃기업의 채권 등 상각처리를 해야 할 부실채권의 원본규모가 2조원이며 이중 50%가량인 1조원은 손실처리하고 상각후 잔액 1조원은 잠재부실로 남게된다고 설명했다.

또 투신운용사가 펀드를 클린화하면서 계열 증권사 미매각수익증권이나 상품계정 등으로 떠넘김에따라 증권사가 안게 될 부실자산은 6천억여원으로 계산됐다.

클린화 과정에서 투신운용사 고유계정으로 떠 넘긴 부실자산은 수십억원으로 매우 미미한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투신운용의 경우 고유계정이나 계열 증권사에 부실자산의 일부를 떠넘기지 않고 부실채권의 상각액수를 모두 고객손실로 돌린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각후 잔액이 잠재부실인 것은 사실이지만 워크아웃 기업중에 회생하게 될 기업도 있는 만큼 2조원가량의 부실채권을 1조원으로 평가한 것은 적정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부실을 털어낸 뒤 자기자본이 3백억원을 넘지 못하는 투신운용사엔 자구노력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