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을 내고도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하는 기업(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의 비중이 늘고 있어 앞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은행의 기업부실대출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지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6일 '우리나라 기업부문 부실에 대한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지난해 상장기업의 이자보상비율과 단기 차입금을 기준으로 분석했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런 기업의 단기 차입금은 부실화 가능성이 크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단기대출 금리가 1%p 오르면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부실기업은 4개 늘고, 이들 기업의 부실 가능 단기차입금도 1360억 원 증가한다. 금리가 3%p 상승하면 부실기업은 12개 증가하고 부실 가능 단기차입금은 1조2980억원으로 불어난다.

문제는 최근 상장기업 중 이자보상비율 및 부채비율 기준 부실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점이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은 2004년 24%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36%로 상승했다. 또 부채비율이 200% 이상인 기업 비중도 2005년 11%에서 지난해 27%로 늘어났다.

아울러 이자보상비율과 부채비율 기준에서 동시에 부실한 '이중부실' 기업도 지난해 164개로 2007년 103개사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금리가 상승할 경우 이들 기업이 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금리 상승기에 대비해 금융기관은 추가 손실 예상금액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한다"면서 "금융시스템 안정 측면에선 이중부실기업에 대한 모니터링과 구조조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