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 대상과 밥을 먹을 때는 식당을 상대방이 지정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밥값이 비싸다고 말하는 건 금물입니다. "

중국에서 건설업을 하고 있는 왕씨의 말이다. 그는 처음 사업을 할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이런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상대방이 지정한 식당에서 식사를 하면 대개 1만위안(약 180만원) 정도면 충분할 밥값이 2만~3만위안(360만~540만원)가량 나올 때가 있다. 하지만 왕씨는 불만없이 식대를 지불한다. 식당이 폭리를 취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식대 중 상당한 액수가 그 식당을 지정한 사람에게 돌아간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돈을 주는 사람이나 받는 이나 이심전심으로 통하는 뇌물수수의 '기술'이다.

'홍루'에서 '벤츠'로

사람과의 관계가 무엇보다 우선시되는 중국 특유의 관시(關係) 문화는 뇌물이라는 부작용을 키워왔다. 개혁 · 개방 이후 발전한 건 자본주의 경제가 아니라 뇌물경제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뇌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기업들엔 샤오진쿠(小金庫:일종의 비자금) 조성이 관습처럼 허용되고,부정부패를 범하기 쉬운 훙딩상런(紅頂商人:정부에 몸담고 있으면서 기업에서 일하는 권력자)이 출세 모델 중 하나로 꼽히는 중국적 시스템에서 뇌물은 필연적 결과물인지도 모른다.

라이창싱은 중국의 전설적 밀수왕이다. 1999년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도피하기 전까지 담배부터 탱크까지 그가 취급하지 않은 물건이 없었다고 한다. 그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푸젠성 샤먼시엔 당시 홍루라는 대형 빌딩이 있었다. 라이창싱이 소유한 이 빌딩엔 식당과 술집 그리고 여관이 들어서 있었고,라이창싱은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순전히 로비를 위해 이 건물을 세웠다. 고관대작들이 이 빌딩에 수시로 드나들었던 것은 물으나마나다. 당시 푸젠성 성장과 당서기를 역임했던 자칭린 현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이 라이창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최근 그의 귀국설이 돌면서 중국 정가에선 '누구 누구가 다칠 것'이란 루머가 돌고 있기도 하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내놓고 뇌물을 주고 받았다. 당시 고위관리를 만나는 사람은 팔에 롤렉스 시계를 두세 개 차고 나가서 끌러주고 오기도 했다. 돈가방을 사무실 책상 위에 올려놓고 나오는 것도 흔한 모습이었다.

1980년대에 인기를 끌던 말보로 담배는 권력자의 집 주변에선 더 잘 팔렸다고 전해진다. 담배 한 보루를 사서 담배 대신 금괴를 넣어 건네는 게 한때 유행을 타기도 했었다.

하지만 정부의 부정부패 단속이 강화되면서 이처럼 노골적인 뇌물수수 방식은 사라졌다. 대신 뇌물 기술이 발전하면서 보다 은밀해졌다. 벤츠 등 고급 차량이나 별장을 차명으로 넘겨주는 것은 90년대 이후 일반화됐다. 받은 사람이 그걸 팔든 말든 더이상 상관하지 않는다. "만일 소유하고 있다가 문제가 되면 빌렸다고 하면 그뿐"이라고 왕씨는 말했다.

현찰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중국 은행을 이용하면 적발될 가능성이 큰 만큼 홍콩에 차명계좌를 만들고 그곳에서 현금을 수수하기도 한다. 중국 최대 재벌로 지난해 11월 구금된 황광위 궈메이 회장처럼 공해상의 도박선에서 돈을 대주고 돈세탁을 해주는 방법도 종종 사용된다.

요즘 유행하는 것은 유학 스폰서다. 로비 상대방의 아이와 비슷한 또래의 자식이 있어서 룸메이트로 함께 보낸다면 금상첨화다. 성을 이용한 로비도 기승이다. 한때 상하이를 근거지로 한 유력 정치세력인 상하이방의 황태자였다가 2006년 감옥에 간 천량위 전 상하이 당서기도 성 로비를 받았다는 설이 파다했다. 당시 로비를 펼치던 측은 그가 마음에 두고 있는 특정 연예인을 닮은 여인을 백방으로 찾아 상납했다는 소문이다. 진런칭 전 재정부장(장관)과 중국석유화학(시노펙)의 천퉁하이 전 회장도 여자 문제 때문에 2007년 자리에서 쫓겨났다.

다국적 기업 수난

이 같은 중국의 폐쇄적 구조에서 살아남으려는 다국적 기업들도 뇌물의 유혹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루슨트 지멘스 등이 관리들에게 뇌물을 줬다가 적발돼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 월마트는 2003년 윈난성의 한 간부 부인에게 10만위안(1800만원)을 건넨 게 문제가 되기도 했다.

사실 다국적 기업에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은 매우 당혹스러운 면이 있다. 관시를 통하지 않으면 될 것도 안 되는 게 중국이다. 요즘은 많이 달라졌지만 몇 년 전만 해도 차명 회사를 세워놓고 그곳을 통해 돈을 받는 관리들은 다른 나라에선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었다. 한 외국계 기업 관계자는 "중국은 국영기업을 이용한 계획경제"라며 "시장보다는 정부의 정책이 때론 더 중요하고,입찰보다는 수의계약이 더 많은 상황에서 관리들과 잘 사귀어 놓아야 한다는 것은 사업의 필수 요건"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들이 샤오진쿠를 만들어놓고 로비자금으로 활용하는 것도 처음에는 이상하게 여겨졌지만 이젠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회계시스템이 엉망인 것도 따지고 보면 샤오진쿠가 없으면 사업하기 어렵다는 경영자들의 인식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다국적 기업들을 부정부패의 온상으로 몰아가는 태도다. 중국 언론들은 부정부패 사건의 64%가 다국적기업이 연루돼 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의 한 퇴임관리는 "예전엔 사실 외국기업의 돈을 받으면 안전하다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문제가 되는 경우가 더 많아 몇 년 전부터는 아예 외국기업의 돈은 잘 받지 않는 풍토가 생겼다"고 전했다.

물론 모든 관리들이 뇌물을 수수하는 것은 아니다. 주변을 철저히 관리하고 절제하는 관리들도 많다. 하지만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일종의 수수료(리베이트)로 지불해야 하는 돈이 전체 매출의 3~5% 안팎인 게 공식처럼 돼 있는 뇌물문화가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중국이 뇌물로 움직이는 사회란 오명을 씻기는 어려울 것 같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