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설립을 추진 중인 한국투자공사(KIC)의 재원(財源)으로 외환보유액을 사용하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재정경제부는 외환보유액이 충분히 쌓인 만큼 일정 부분을 헐어 KIC의 종잣돈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입장인 반면 한국은행은 수익성 위주로 외환보유액을 운용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외환보유액이란 한 국가의 통화당국(정부+중앙은행)이 대외지급 준비자산으로 갖고 있는 외화자산을 말한다. 민간부문의 외화자금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때나 원화환율이 국제 투기자본의 공격을 받을 경우 사용하기 위한 일종의 '비상식량'이다. 1997년 말 외환위기 당시 한국은 해외로부터 외화차입이 중단되고 외화자금의 이탈이 가속화하면서 외환보유액이 바닥을 드러내 국가 경제가 부도 일보 직전까지 가는 쓰라린 경험을 했다. 외환보유액은 크게 세 가지 요인에 의해 증가한다. 우선 경상수지 흑자.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게 되고 그만큼 외환보유액은 늘어난다. 국내 주식시장에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되는 것도 외환보유액을 증가시키는 주요인이다. 이밖에 외환당국이 환율의 지나친 하락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직접 매입하는 시장개입을 하면 외환보유액이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확보된 외환보유액은 주로 미국 국채 등 주요 국가의 국채나 정부 보증채에 투자되고 나머지는 금(金)이나 특별인출권(SDR) 등에 넣어 둔다. SDR는 국제통화기금(IMF) 출자액 비율에 따라 가맹국에 무상으로 배분된 무형의 통화로 외화자산이 부족할 경우 SDR를 넘기면 필요 외화를 인출할 수 있다. 지난 15일 현재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1천5백30억4천만달러로 지난해 말에 비해 3백16억달러나 증가했다. 그 어느 해보다 시장개입이 빈번했던 데다 유로화나 엔화 등으로 표시된 자산의 미국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