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생산성은 기업경쟁력의 원천이다. 한 국가의 성장잠재력 규모를 결정하는 기본 요소이기도 하다. 지금처럼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둔화되는 상황이 계속되면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과 선진국 진입은 요원할 수 밖에 없다. 미국의 1990년대 10년 호황이야말로 생산성 향상의 대표적인 사례다. 한경이 제안하는 노동생산성 제고 5대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과감한 인력조정이 필요하다 산출을 늘리는 동시에 투입도 줄여라.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이를 위해 필연적이다. 인력 수급을 조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정부 정책과 노조 반발 등으로 잉여 인력을 계속 떠안고 가야 한다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신규 투자는 불가능하다. KT가 전체 임직원 4만3천7백여명의 12%가 넘는 5천5백여명을 한꺼번에 명예퇴직시키기로 한 결정은 인력구조조정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2. 노동강도 10% 높여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주5일 근무제가 단계적으로 시작되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9.6% 가량 늘어난다. 생산성을 10% 늘리지 않으면 기업경쟁력은 그만큼 약화될 수 밖에 없다. 특히 9시 출근해서 1시간 넘게 신문보고 2시간 넘게 점심 먹고 오후에 잠깐 일하다 퇴근하는 근로문화는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 3. 생력(省力)화 투자는 생존의 관건 노동장비를 그대로 둔 채 근로시간과 임금을 관리하는 것만으로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기업의 투자 활성화가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가장 근본적인 방안이다. 특히 외국인 기업의 자본 및 기술투자는 단기간에 노동생산성을 끌어 올리는 효과를 낳는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투자유인책이 필요하다. 4. 임금을 생산성에 연계하라 생산성을 뛰어 넘는 임금 상승이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불러왔다는 것은 긴 설명이 필요없다. 경쟁국에 비해 과도한 임금 인상은 외국인 투자를 가로막는 요인일 뿐 아니라 국내 기업의 해외 이전을 가속화시켜 산업공동화를 촉발시키고 있다. 정부는 최근 내놓은 '생산성 증가 범위 내에서의 임금인상을 유도한다'는 기본 방침을 반드시 실천에 옮겨야 한다. 5. 기업에 맞는 인재 키워라 기업들은 해마다 신입사원 교육에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사교육비만 문제가 아니라 재교육비도 심각한 문제다. 바로 이 때문에 최근에는 경력직원만 뽑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을 기업환경의 변화속도에 맞추어야 한다. 기술인 경제인을 길어내는 교육체제로 획기적으로 변신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개방도 필수적이다. 정리=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