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W 이제는 스타트업] '변두리'에서 '핵심지'로…스타트업 사무실의 이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
최근 인공지능(AI)으로 주목받는 도시 캐나다 토론토를 다녀왔다. 그곳에서 ‘벤처랩’이라는 스타트업 사무실이 모여 있는 공간을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건물에 들어서는 순간 확 다가오는 느낌이 있었다. ‘역동적’이었다. 스타트업의 보육공간의 디자인과 기능은 사실 어느 곳을 가나 비슷하다. 그런데 분위기는 다 다르다. 이곳 분위기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자극을 준다’는 것이었다. 토론토시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이 시설의 운영 담당자를 만나 여러 가지 얘기를 나누면서 한국과는 다른 접근 방법에 또 한번 자극을 받았다.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여러 정책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게 사무실 공간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정부의 사무공간 지원 정책은 창업을 독려하고 새로운 시도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여유 공간을 활용해 창업보육센터 등을 조성함으로써 초기 창업자에게 저렴한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창업에 따른 비용 부담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최근 창업 환경과 스타트업 생태계의 변화는 기존의 사무공간 지원 정책도 새롭게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실 이런 정책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창업보육시설은 스타트업이 필요로 하는 주요 비즈니스 지역이 아니라 공실이 있거나 일정 용도로 지정되지 않은 외곽 지역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창업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기는 하지만 핵심 네트워크가 형성된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입지적인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했다. 저렴한 사무공간을 얻는 대신 주요 고객이나 파트너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스타트업 간 활발한 교류 기회를 놓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초기 창업을 촉진하는 정책이 과거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었겠지만, 이제는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숙해진 만큼 지원 방향 역시 변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스타트업 생태계의 발전 방향은 더 이상 단순한 저변 확대에 머물지 않고,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해 스케일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더 많은 스타트업이 설립되는 것보다 유망한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며,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지원을 요구한다.
따라서 기존의 사무공간 지원 정책이 초기 창업 단계 기업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이제는 빠른 성장이 가능한 스케일업 단계의 기업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저렴한 사무공간 제공에 그치지 않고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네트워킹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전문화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론토에서 본 벤처랩은 이런 변화의 필요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벤처랩은 한국의 창업 사무공간 지원 방식과 달리 시중 임대료에 가까운 상당한 수준의 임대료를 받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간에 입주하려는 스타트업은 순서를 기다릴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벤처랩은 단순히 유휴 공간에 사무실을 마련한 것이 아니라 스타트업이 입주하고자 하는 핵심 비즈니스 지역에 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에서 스타트업들이 서로 네트워킹하며 다양한 성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단순한 공간 제공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여러 개의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는 성과도 낳았다.
한국의 스타트업 사무공간 지원 정책도 이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초기 창업자에게 무상 혹은 저렴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데서 더 나아가 상당한 비용을 받더라도 스타트업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핵심 비즈니스 지역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 성장과 스케일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스타트업이 입주할 사무공간은 단순한 공실 활용의 개념을 넘어 스타트업이 비즈니스적으로 희망하는 지역에 의미 있는 공간으로 마련돼야 한다. 또한 스타트업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뤄지도록 하고, 이들이 외부 투자자와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야 한다. 이런 전략적 네트워킹의 기회를 통해 스타트업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유니콘 기업의 탄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여러 정책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게 사무실 공간을 무상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정부의 사무공간 지원 정책은 창업을 독려하고 새로운 시도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여유 공간을 활용해 창업보육센터 등을 조성함으로써 초기 창업자에게 저렴한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창업에 따른 비용 부담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최근 창업 환경과 스타트업 생태계의 변화는 기존의 사무공간 지원 정책도 새롭게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실 이런 정책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창업보육시설은 스타트업이 필요로 하는 주요 비즈니스 지역이 아니라 공실이 있거나 일정 용도로 지정되지 않은 외곽 지역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창업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기는 하지만 핵심 네트워크가 형성된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입지적인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했다. 저렴한 사무공간을 얻는 대신 주요 고객이나 파트너와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스타트업 간 활발한 교류 기회를 놓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초기 창업을 촉진하는 정책이 과거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었겠지만, 이제는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숙해진 만큼 지원 방향 역시 변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스타트업 생태계의 발전 방향은 더 이상 단순한 저변 확대에 머물지 않고,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해 스케일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더 많은 스타트업이 설립되는 것보다 유망한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며,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지원을 요구한다.
따라서 기존의 사무공간 지원 정책이 초기 창업 단계 기업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이제는 빠른 성장이 가능한 스케일업 단계의 기업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저렴한 사무공간 제공에 그치지 않고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네트워킹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전문화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론토에서 본 벤처랩은 이런 변화의 필요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벤처랩은 한국의 창업 사무공간 지원 방식과 달리 시중 임대료에 가까운 상당한 수준의 임대료를 받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간에 입주하려는 스타트업은 순서를 기다릴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벤처랩은 단순히 유휴 공간에 사무실을 마련한 것이 아니라 스타트업이 입주하고자 하는 핵심 비즈니스 지역에 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에서 스타트업들이 서로 네트워킹하며 다양한 성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단순한 공간 제공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여러 개의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는 성과도 낳았다.
한국의 스타트업 사무공간 지원 정책도 이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초기 창업자에게 무상 혹은 저렴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데서 더 나아가 상당한 비용을 받더라도 스타트업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핵심 비즈니스 지역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또 성장과 스케일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스타트업이 입주할 사무공간은 단순한 공실 활용의 개념을 넘어 스타트업이 비즈니스적으로 희망하는 지역에 의미 있는 공간으로 마련돼야 한다. 또한 스타트업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뤄지도록 하고, 이들이 외부 투자자와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야 한다. 이런 전략적 네트워킹의 기회를 통해 스타트업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유니콘 기업의 탄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