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배출국인데…'족보=족발보쌈세트' 처참한 문해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벨문학상 한강 소설 이해 못할 듯
문해력 처지는 한국 학생들
문해력 처지는 한국 학생들

16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교생 한 명이 1년에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본 책은 17.2권이다. 2014년 21.9권에서 21.5%나 줄었다.
ADVERTISEMENT
교내 도서관 시설과 독서 환경이 점점 좋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학생들의 도서관 책 대출 감소는 더욱 선명한 대조를 이룬다는 평이다.
학생들의 도서관 대출 감소 배경으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과 디지털 매체 사용이 꼽힌다. 온라인의 다양한 플랫폼으로 손쉽게 지식, 정보를 습득하면서 독서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또한 e북(전자책)이 대중화되면서 이를 이용해 독서를 하는 학생들의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독서량이 줄면서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 문제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교육부가 중3, 고2를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고2 국어 과목에서 '보통 학력 이상'을 획득한 학생은 2019년 77.5%에서 불과 4년 만인 지난해 52.1%로 급락했다. 중3에서는 같은 기간 82.9%에서 61.2%로 떨어졌다.
반면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고2의 경우 같은 기간 4%에서 두 배 이상인 8.6%로 뛰었고, 중3에서는 이 비율이 4.1%에서 9.1%로 더 큰 폭으로 늘어났다.
ADVERTISEMENT
사건의 시발점(始發點)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왜 욕하느냐'고 따져 묻거나, 두발 자유화 토론에서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는 학생,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로 알고 있었다', '왕복 3회라고 했는데 왕복을 이해하지 못했다' 등의 사례도 있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으로 독서에 대한 관심이 최근 크게 환기된 만큼, 이번 계기를 통해 학생 독서 교육을 강화해 문해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적용되는 '학교 도서관 진흥 기본계획'을 지난 3월 마련했고, 이를 충실히 이행한다는 입장이다.
ADVERTISEMENT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