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인 듯 침체 아닌 美 '바이브세션' 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인 60% "경기 침체"
실제 경기지표는 양호한데
생활비 뛰자 '심리적 불황' 늘어
실제 경기지표는 양호한데
생활비 뛰자 '심리적 불황' 늘어
공식 지표에선 미국 경제가 견조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미국인은 약 60%가 이미 경기 침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체(recession)’와 체감 경기를 뜻하는 ‘분위기(vibe)’를 합쳐 ‘바이브세션’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현지시간) 미국 금융서비스 회사 어펌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9%가 미국 경기를 침체 상태로 보고 있었다. 복수 응답 기준으로 미국이 불황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로 68%가 생활비 상승을 꼽았고, 친구 혹은 가족이 돈에 관해 불평하는 것(50%)을 다음 이유로 응답했다. 친구들이 지출을 줄이는 것을 눈치채서(36%), 신용카드 빚을 갚지 못해서(20%) 등 다른 이유도 언급했다.
미국이 침체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평균적으로 15개월 전, 대략 2023년 3월에 경기 침체가 시작됐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경기 침체가 금방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지 않으며 2025년 7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비샬 카푸어 어펌 제품 담당 수석부사장은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바닥을 치는 상황에서 소비자는 자신의 재정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시급히 찾고 있다”고 분석했다.
체감 경기가 나빠지면서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의 89%는 재정 관리에서 예측 가능한 월별 예산 계획을 세우는 걸 해결책으로 봤다. 또 10명 중 6명(63%)은 이자를 포함한 총 구매 비용을 미리 확인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미국인의 절반 이상(54%)이 ‘선구매 후결제’ 옵션을 사용했거나 사용할 의향이 있으며 절반 가까이(45%)는 이러한 옵션이 예산을 지키고 재정을 관리하기 쉽다는 데 동의했다.
실제 경기지표와 체감 경기의 괴리를 두고 조이스 창 JP모간체이스 글로벌리서치총괄은 5월 CNBC 금융 고문 서밋에서 “지난 몇 년간 부의 창출은 주택 소유자와 고소득 계층에 집중됐다”며 “하지만 아마도 인구의 약 3분의 1은 혜택을 받지 못했을 것이고, 이것이 바로 그런 괴리가 생기는 이유”라고 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12일(현지시간) 미국 금융서비스 회사 어펌에 따르면 지난 6월 미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9%가 미국 경기를 침체 상태로 보고 있었다. 복수 응답 기준으로 미국이 불황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로 68%가 생활비 상승을 꼽았고, 친구 혹은 가족이 돈에 관해 불평하는 것(50%)을 다음 이유로 응답했다. 친구들이 지출을 줄이는 것을 눈치채서(36%), 신용카드 빚을 갚지 못해서(20%) 등 다른 이유도 언급했다.
미국이 침체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평균적으로 15개월 전, 대략 2023년 3월에 경기 침체가 시작됐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경기 침체가 금방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지 않으며 2025년 7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비샬 카푸어 어펌 제품 담당 수석부사장은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바닥을 치는 상황에서 소비자는 자신의 재정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시급히 찾고 있다”고 분석했다.
체감 경기가 나빠지면서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의 89%는 재정 관리에서 예측 가능한 월별 예산 계획을 세우는 걸 해결책으로 봤다. 또 10명 중 6명(63%)은 이자를 포함한 총 구매 비용을 미리 확인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미국인의 절반 이상(54%)이 ‘선구매 후결제’ 옵션을 사용했거나 사용할 의향이 있으며 절반 가까이(45%)는 이러한 옵션이 예산을 지키고 재정을 관리하기 쉽다는 데 동의했다.
실제 경기지표와 체감 경기의 괴리를 두고 조이스 창 JP모간체이스 글로벌리서치총괄은 5월 CNBC 금융 고문 서밋에서 “지난 몇 년간 부의 창출은 주택 소유자와 고소득 계층에 집중됐다”며 “하지만 아마도 인구의 약 3분의 1은 혜택을 받지 못했을 것이고, 이것이 바로 그런 괴리가 생기는 이유”라고 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