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가도 절반은 '5분 미만'…"3분 진료 과장 아니었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분 진료'라는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통계로 드러났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실시한 '2023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7월 24일~9월 22일 가구 방문 방식으로 1만49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래서비스를 받은 응답자의 55.0%가 의사의 진료 시간이 5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답변자 중 진료 시간이 4~5분인 경우가 37.4%로 가장 많았고, 1~3분이라는 응답자도 17.6%였다. 턱없이 짧은 진료 시간을 지적할 때 흔히 쓰는 '3분 진료'라는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다.
6~10분이었다는 응답자는 28.3%로 10분 미만 진료가 전체의 83.3%로 전체 응답자의 평균 외래진료 시간은 8.0분이었다. 11~30분 진료했다는 응답은 16.0%에 그쳤다.
반면 환자가 진료받기 위해 접수 후 기다린 대기 시간은 평균 17.9분이었다. 평균 수치만 놓고 보자면 외래 환자가 17.9분을 기다려 8분간 진료를 받은 셈이다.
대기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는 외래환자의 16.7%, 37.8%는 10~20분 미만, 26.3%는 20~30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30분 이상 대기한 경우는 19.2%를 차지했다.
입원 환자의 경우 평균 7.5일을 입원했는데, 48.1%가 예약 없이 당일 입원을 했다. 나머지 51.9%는 날짜를 잡아서 입원했다. 전체 입원 환자의 41.3%가 원하는 날짜에 입원했지만, 10.6%는 원하는 날 입원을 하지 못해 평균 13.6일간 대기했다.
입원한 환자 중 27.1%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했는데, '대체로 만족', '매우 만족'했다는 답변이 전체의 97.3%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입원 환자 중 개인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7.1%, 공동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6.6%였다. 이들의 평균 고용일은 각각 7.1일, 7일이었다. 고용 비용은 개인 간병인의 경우 하루 평균 11만8870원, 공동 간병인은 2만1584원이었다. 만족도는 개인 간병인의 경우 83.7%, 공동 간병인은 77.6%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보다 낮았다.
응답자의 76.7%는 한국의 보건의료 제도를 신뢰한다고 답했고, 75.8%는 만족했다.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9.9%였다. 특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 중 절반에 가까운 43.8%가 보건의료 제도를 개선 시 필요하다면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복지부는 2017년부터 의료서비스 경험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 긍정적 인식은 6년 사이 10%포인트 안팎으로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담당 의사가 예의를 갖춰 대했다는 응답은 2017년 89.1%에서 2023년 95.5%로 상승했고, 담당 의사가 알기 쉽게 설명했다고 답한 비율은 2017년 80.0%에서 2023년 92.2%까지 늘었다. 담당 의사가 배려했는지에 대해서는 2017년 78.4%만 긍정적으로 답했지만, 2023년에는 긍정적 답변 비율이 91.0%였다.
의료기관 이용 시 편안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3%에서 94.5%, 의료기관 내 행정 부서 서비스에 만족했다는 대답 비율은 73.6%에서 92.3%로 각각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의료기관 유형별로 보면, 한방병의원 이용자가 95.6%로 긍정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병원 92.2%, 치과병의원91.6%, 의원 91.3% 순이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실시한 '2023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7월 24일~9월 22일 가구 방문 방식으로 1만49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래서비스를 받은 응답자의 55.0%가 의사의 진료 시간이 5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답변자 중 진료 시간이 4~5분인 경우가 37.4%로 가장 많았고, 1~3분이라는 응답자도 17.6%였다. 턱없이 짧은 진료 시간을 지적할 때 흔히 쓰는 '3분 진료'라는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다.
6~10분이었다는 응답자는 28.3%로 10분 미만 진료가 전체의 83.3%로 전체 응답자의 평균 외래진료 시간은 8.0분이었다. 11~30분 진료했다는 응답은 16.0%에 그쳤다.
반면 환자가 진료받기 위해 접수 후 기다린 대기 시간은 평균 17.9분이었다. 평균 수치만 놓고 보자면 외래 환자가 17.9분을 기다려 8분간 진료를 받은 셈이다.
대기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는 외래환자의 16.7%, 37.8%는 10~20분 미만, 26.3%는 20~30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30분 이상 대기한 경우는 19.2%를 차지했다.
입원 환자의 경우 평균 7.5일을 입원했는데, 48.1%가 예약 없이 당일 입원을 했다. 나머지 51.9%는 날짜를 잡아서 입원했다. 전체 입원 환자의 41.3%가 원하는 날짜에 입원했지만, 10.6%는 원하는 날 입원을 하지 못해 평균 13.6일간 대기했다.
입원한 환자 중 27.1%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했는데, '대체로 만족', '매우 만족'했다는 답변이 전체의 97.3%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입원 환자 중 개인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7.1%, 공동 간병인을 고용한 경우는 6.6%였다. 이들의 평균 고용일은 각각 7.1일, 7일이었다. 고용 비용은 개인 간병인의 경우 하루 평균 11만8870원, 공동 간병인은 2만1584원이었다. 만족도는 개인 간병인의 경우 83.7%, 공동 간병인은 77.6%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보다 낮았다.
응답자의 76.7%는 한국의 보건의료 제도를 신뢰한다고 답했고, 75.8%는 만족했다.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9.9%였다. 특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 중 절반에 가까운 43.8%가 보건의료 제도를 개선 시 필요하다면 건강보험료를 추가로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복지부는 2017년부터 의료서비스 경험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 긍정적 인식은 6년 사이 10%포인트 안팎으로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담당 의사가 예의를 갖춰 대했다는 응답은 2017년 89.1%에서 2023년 95.5%로 상승했고, 담당 의사가 알기 쉽게 설명했다고 답한 비율은 2017년 80.0%에서 2023년 92.2%까지 늘었다. 담당 의사가 배려했는지에 대해서는 2017년 78.4%만 긍정적으로 답했지만, 2023년에는 긍정적 답변 비율이 91.0%였다.
의료기관 이용 시 편안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3%에서 94.5%, 의료기관 내 행정 부서 서비스에 만족했다는 대답 비율은 73.6%에서 92.3%로 각각 눈에 띄게 높아졌다. 의료기관 유형별로 보면, 한방병의원 이용자가 95.6%로 긍정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병원 92.2%, 치과병의원91.6%, 의원 91.3% 순이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