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57% 이용 경험…어려움 겪은 이유는 '뒷사람 눈치'
모바일 쇼핑·배달 경험은 30%대…서울시민 디지털역량 실태조사
고령층 키오스크 사용 늘었지만…모바일앱 사용은 여전히 저조
만 55세 이상 고령층 57.1%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등 키오스크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키오스크 주문에 어려움을 겪은 이유로는 '뒷사람의 눈치가 보여서'가 가장 많았다.

서울디지털재단은 12일 만 19세 이상 서울시민 5천500명을 면접한 결과를 분석한 '2023 서울시민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1.7%는 키오스크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2021년 조사 결과인 76.9%보다 4.8%포인트 올랐다.

고령층은 57.1%로 2년 전보다 11.3%포인트 올랐다.

55∼64세는 79.1%(10.1%포인트↑), 65∼74세 50.4%(21.0%포인트↑), 75세 이상은 19.1%(5.3%포인트↑)가 키오스크를 써봤다고 답했다.

65∼74세에서 이용 경험률이 큰 폭으로 높아졌다.

장애인 가운데 키오스크를 이용해봤다는 비율은 58.9%였다.

키오스크 이용 중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고령층 59.6%, 장애인 60.9%가 있다고 답했다.

고령층은 그 이유로 '뒷사람 눈치가 보여서'(53.6%), '선택사항 적용이 어려워서'(46.3%), '용어가 어려워서'(34.0%)라고 답했다.

장애인은 '도움을 요청할 방법이 없어서'(63.6%), '뒷사람 눈치가 보여서'(39.1%), '선택사항 적용이 어려워서'(32.2%)를 지적했다.

모바일 앱을 이용해 물건을 사거나 배달을 시키는 등의 활동은 여전히 적게 나타났다.

고령층의 경우 모바일로 상품 구매를 했다는 비율은 38.4%, 음식배달 30.0%, 교통·서비스 예약은 27.4%였다.

민간 인증서를 발급받았다는 비율은 28.4%로 전체 시민으로 넓혀봤을 때의 63.6%보다 낮았다.

일상생활 필수 서비스가 디지털화되는 가운데, 모바일 앱을 잘 쓰지 못하는 계층은 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며 시간과 비용을 더 지불해야 하는 '노인세'가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하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고령층은 '주변 사람 도움으로 해결한다'는 비율이 60.7%였다.

'해결 못 한 채로 둔다'는 등 포기하는 비율은 13.3%였다.

전체 응답자의 55.3%는 '생성형 AI'를 알고 있고 15.4%는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과 장애인은 생성형 AI를 알고 있는 비율이 각각 24.1%·25.9%이며, 사용해 본 경험은 2.3%, 5.6%에 불과했다.

생성형 AI란 텍스트·이미지·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을 말한다.

고령층을 제외한 만 55세 미만을 대상으로 AI 문해력을 조사한 결과, AI의 개념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80.4%였다.

일상생활에서 AI가 적용된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는 87.5%였다.

AI 기술이 우리 삶에 적용된 사례를 식별할 수 있다는 비율은 66.4%, AI 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알고 있다는 답은 66.6%였다.

2023 서울시민 디지털 역량 실태조사 보고서는 이달 중 서울디지털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서울시와 재단은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시민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약자를 대상으로 상담·교육을 하는 거점을 마련하고, 면대면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어르신의 디지털 활용 체험을 지원하는 디지털동행플라자를 2026년까지 2개소에서 6개소로 늘릴 예정이다.

서울디지털재단은 1:1 노노(老老) 케어 방식의 디지털 교육인 '어디나지원단'을 강화하고 하반기부터는 이동식으로 시내 곳곳을 찾아가는 디지털 돌봄 체험 버스를 운영한다.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활용해 고령층, 장애인 모두 소외 없이 디지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