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립금리 연구 전략 완전해"…한은 추켜세운 석학들 [강진규의 BOK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가 추가로 조언을 드리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미 완전한(complete) 연구 전략을 갖고 있고, 스위스에서 적용하는 것과 꽤나 유사합니다."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30일 한은이 개최한 BOK국제컨퍼런스에서 "한국의 중립금리 연구에 조언을 해달라"는 이창용 한은 총재의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질문하면서 한국이 중립금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했다. 특정한 값을 추정하기보다는 4~5개의 모형을 통해 범위를 추정하는 방식을 쓰고 있으며, 현재의 실질금리가 그 범위 중 어느곳에 있는지를 두고 통화정책의 스탠스를 결정한다고 했다. 또 이와 함께 근원물가 상승률이나 금융상황지수(FCI) 등을 참고한다고 밝혔다.
외부요인에 따른 추정치 변동성이 너무 크다는 점은 고민거리라고 했다. 환율, 경상수지, 자본이동 등의 요인을 반영할 경우 중립금리 추정치가 과도하게 변동한다는 것이다. "중립금리가 너무 학술적인 개념이라 외부 커뮤니케이션이 어렵다"고도 했다.
요르단 총재는 "외부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지만 내부적으로 경제의 균형에 대한 명확한 관점을 갖는 게 중요하다"며 "스위스중앙은행도 아웃풋 갭, 환율, 금리가 균형에 가까운지를 두고 토론하면서 정책의 스탠스가 적합한지 따져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불확실성의 세계로부터 유용한 것을 가져와야하는 이코노미스트들의 일이기도 하다"고 부연했다.
이수형 한은 금융통화위원도 "경기 사이클이 반전되거나 새로운 충격이 나타나면 (중립금리를 추정하는) 모델이 매우 다른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며 "전문가들이 모델 선정이나 통화정책의 방향 관점에서 어떤 것을 더할 수 있다고 보는지 알고 싶다"고 질문했다.
요르단 총재는 "이코노미스트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모델이 유용한지를 파악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과제"라며 "순수한 모델을 통화정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경제학자의 예술"이라고 답했다.
이 총재는 정책대담을 마친 후 기자와 만나 "(이번 콘퍼런스는) 해외의 연구를 통해 배우는 것과 함께 우리의 연구 성과를 해외에 알린다는 의미도 있다"며 "한은에서 발표하는 내용과 이수형 위원이 질문한 것도 그런 맥락"이라고 말했다. '유럽이나 선진국에서 보기에도 한국의 중립금리 연구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31일 도경탁 한은 통화정책국 과장이 한국의 중립금리 수준을 연 -0.2~1.3%으로 발표한 이후에는 석학들의 깜짝 현장 토론이 이뤄졌다. 이 총재가 "경상수지와 환율 등 대외 변수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는데 지도교수(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나 워싱턴DC에 있는 동료들에게 물어봐도 뾰족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며 현장에 있는 석학들에게 마이크를 넘긴 것이다.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토마스 사전트 미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와 전날 발표한 카를로스 카르발류 리우데자네이루가톨릭대 교수 등이 발언을 이어갔다. 석학들은 '대외 개방도 변수'를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토마스 요르단 스위스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30일 한은이 개최한 BOK국제컨퍼런스에서 "한국의 중립금리 연구에 조언을 해달라"는 이창용 한은 총재의 질문을 받자 이같이 답했다.
이 총재는 질문하면서 한국이 중립금리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했다. 특정한 값을 추정하기보다는 4~5개의 모형을 통해 범위를 추정하는 방식을 쓰고 있으며, 현재의 실질금리가 그 범위 중 어느곳에 있는지를 두고 통화정책의 스탠스를 결정한다고 했다. 또 이와 함께 근원물가 상승률이나 금융상황지수(FCI) 등을 참고한다고 밝혔다.
외부요인에 따른 추정치 변동성이 너무 크다는 점은 고민거리라고 했다. 환율, 경상수지, 자본이동 등의 요인을 반영할 경우 중립금리 추정치가 과도하게 변동한다는 것이다. "중립금리가 너무 학술적인 개념이라 외부 커뮤니케이션이 어렵다"고도 했다.
요르단 총재는 "외부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지만 내부적으로 경제의 균형에 대한 명확한 관점을 갖는 게 중요하다"며 "스위스중앙은행도 아웃풋 갭, 환율, 금리가 균형에 가까운지를 두고 토론하면서 정책의 스탠스가 적합한지 따져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불확실성의 세계로부터 유용한 것을 가져와야하는 이코노미스트들의 일이기도 하다"고 부연했다.
이수형 한은 금융통화위원도 "경기 사이클이 반전되거나 새로운 충격이 나타나면 (중립금리를 추정하는) 모델이 매우 다른 숫자를 나타낼 수 있다"며 "전문가들이 모델 선정이나 통화정책의 방향 관점에서 어떤 것을 더할 수 있다고 보는지 알고 싶다"고 질문했다.
요르단 총재는 "이코노미스트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모델이 유용한지를 파악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과제"라며 "순수한 모델을 통화정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경제학자의 예술"이라고 답했다.
이 총재는 정책대담을 마친 후 기자와 만나 "(이번 콘퍼런스는) 해외의 연구를 통해 배우는 것과 함께 우리의 연구 성과를 해외에 알린다는 의미도 있다"며 "한은에서 발표하는 내용과 이수형 위원이 질문한 것도 그런 맥락"이라고 말했다. '유럽이나 선진국에서 보기에도 한국의 중립금리 연구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31일 도경탁 한은 통화정책국 과장이 한국의 중립금리 수준을 연 -0.2~1.3%으로 발표한 이후에는 석학들의 깜짝 현장 토론이 이뤄졌다. 이 총재가 "경상수지와 환율 등 대외 변수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는데 지도교수(로런스 서머스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나 워싱턴DC에 있는 동료들에게 물어봐도 뾰족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며 현장에 있는 석학들에게 마이크를 넘긴 것이다.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토마스 사전트 미 뉴욕대 경제학과 교수와 전날 발표한 카를로스 카르발류 리우데자네이루가톨릭대 교수 등이 발언을 이어갔다. 석학들은 '대외 개방도 변수'를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