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 맥도 생태공원.  부산시 제공
낙동강 하구 맥도 생태공원.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낙동강 국가정원 등 미래 녹색 도시 조성에 나선다.

부산시는 27일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바이오필릭 시티(생명 사랑 도시) 부산 국제 콘퍼런스’를 열고 미래 녹색 도시 비전을 만들어나갈 계획을 밝혔다. 이번 행사는 부산시가 국내 최초로 세계 도시 연합인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 회원 도시로 인증받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다.

바이오필릭 시티는 2011년 미국 버지니아대에서 시작된 도시 프로젝트다. 도시 내 다양한 생명체와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 모델 개념을 제시했다. 생명체(bio)와 사랑(philia)을 합친 말로, 도시 계획에 생명 사랑 개념을 접목한 방법론이다. 부산시를 포함해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 회원은 14개국 32곳이다.

부산시는 △시민이 살기 좋은 공원과 정원 속 도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녹색 도시 조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한 시의 전략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시는 그동안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과 낙동강 국가정원 지정,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맥도 그린시티 조성 등의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날 회의에는 바이오필릭 시티 개념을 정립해 네트워크를 설립한 티머시 비틀리 버지니아대 도시환경계획과 교수가 참석했다. 비틀리 교수는 바이오필릭 시티 개념을 설명하고, 파트너 도시 우수 사례를 공유했다. 국내외 전문가들도 부산의 미래 녹색 도시 방향성에 관해 조언했다. 강서구 일대 국가정원 사업을 추진 중인 100만 평 문화공원조성범시민협회 공동운영장인 김승환 동아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일본과 중국 등의 전문가가 부산을 찾았다.

부산시는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과 맥도 그린시티 조성사업 등의 도시계획 구상에 생명 사랑 도시 개념을 도입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를 통해 선진 사례를 공유할 것”이라며 “부산의 녹지를 더욱 풍성하게 가꿀 방침”이라고 밝혔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