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가 미국 최대 소형모듈원전(SMR) 설계업체인 뉴스케일파워가 짓는 370억달러(약 50조원) 규모 SMR 건설 프로젝트에 원자로, 증기발생기 튜브 등 주기기를 납품한다. 공급 물량은 2조원이 넘을 것으로 알려졌다.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SMR 시장이 본격 열리면서 두산 등 국내 원자력발전 기업이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이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공장에 있는 SMR 주조설비.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공장에 있는 SMR 주조설비.
26일 원전업계에 따르면 뉴스케일파워는 정보기술(IT) 인프라 기업 스탠더드파워에 2029년부터 SMR 24기를 공급하기로 하고, 세부 사안을 조율하고 있다. 계약금액은 50조원에 달한다. 뉴스케일파워 관계자는 “상반기 최종 합의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산이 대규모 물량을 수주한 것은 뉴스케일파워에 초기 투자를 해서다. 두산은 뉴스케일파워가 스타트업이던 2019년과 2021년 총 1억400만달러를 투자하면서 이 회사가 수주하는 프로젝트에 핵심 부품을 납품하기로 합의했다. 두산은 SMR 시장이 커질 것으로 보고 7년 전부터 준비했다. 세계 최초로 SMR 전용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관련 기술도 확보했다. SK㈜와 SK이노베이션, HD한국조선해양이 투자한 또 다른 SMR 업체인 테라파워는 다음달 미국 와이오밍주에 첫 SMR 단지를 착공한다.

대형 원전(발전 용량 1400㎿ 수준)의 ‘다이어트 버전’인 SMR(300㎿ 이하)은 전력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규모가 작은 데다 안전성도 높아 데이터센터 등 전기를 많이 쓰는 곳 인근에 설치할 수 있어서다.

오현우/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