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스위스 '우크라 평화회의' 견제"
대선 앞둔 미국에 보내는 메시지라는 분석도
"종전 바라는 쪽엔 솔깃한 제안, 러 의도 잘 살펴야"
푸틴이 '평화협상에 열려 있다' 신호 보낸 이유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 공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평화 협상을 언급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푸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회담한 뒤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할 평화 협상과 관련해 협상은 재개돼야 하지만 오늘날의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늘날의 현실이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의 거의 20%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을 이야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날 로이터 통신도 러시아 소식통들을 인용해 푸틴 대통령이 현재의 전선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중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벨라루스에서 루카셴코 대통령과 회담할 당시 빅토르 야누코비치 전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전용기가 벨라루스에 도착했다는 미확인 보도도 있었다.

야누코비치는 친러시아·반서방 노선을 걷다 2013년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유로마이단 혁명으로 축출됐는데, 러시아가 또다시 우크라이나에 '대리인'을 집권시키려 한다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전시 상황에서 선거 없이 대통령직을 이어가고 있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직무 수행 적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푸틴이 '평화협상에 열려 있다' 신호 보낸 이유는
CNN은 25일 러시아가 전선에서 우세를 보이는 와중에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을 종료할 평화 회담에 열려 있다는 '신호'를 보낸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분석했다.

먼저, 내달 15∼16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 평화회의를 견제하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주요국은 러시아가 불참한 가운데 평화회의에서 평화 회담 조건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러시아가 평화회의를 앞두고 우크라이나가 영토에 있어 어떤 양보를 감수해야 하는지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한편, 중국의 회의 참석을 막는 효과를 노리는 것일 수 있다는 게 CNN의 분석이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은 X(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푸틴 대통령의 평화 회담 언급은 스위스에서 열리는 평화회의를 방해하려는 목적에 따른 것이라면서 "푸틴은 현재 우크라이나 침략을 끝내려는 욕구가 없다.

이것이 그가 스위스 정상회담을 그토록 두려워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평화회의를 계속 무시해왔다.

25일에도 드미트리 폴랸스키 주유엔 러시아 대표부 차석대사는 우크라이나가 제시하는 '평화 공식'은 러시아가 패배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생각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명백히 비현실적이라면서 평화회의는 무의미하며 사기극이라고 맹비난했다.

CNN은 또 푸틴 대통령이 평화 협상을 꺼낸 것은 11월 대선을 앞둔 미국 등 서방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한 번에 중지되는 간단한 거래가 성사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미국 의회는 최근 몇 달간 끌어왔던 610억달러(약 83조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안을 통과시키기는 했지만, 미국 등 서방에선 전쟁 장기화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다.

CNN은 전쟁이 그저 사라지기를 바라거나 러시아가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동부 회원국에 가하는 실존적 위협을 덜 신경 쓰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이번 제안이 어느 정도 설득력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러시아가 군사적 목적이 있었음에도 과거 시리아와 우크라이나에서 평화를 내세워 외교협상을 벌였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의도를 냉소적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CNN은 짚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