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6500만 넘겨라'…홍콩H지수 반등에 피 마르는 투자자들
은행권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자율 배상협의를 시작한다. 불완전 판매를 주장하며 손실액 전액 보상을 요구하는 투자자들이 적지 않아 분쟁조정이나 법적 소송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홍콩 H지수가 반등함에 따라 손실·배상 규모가 눈에 띄게 줄어들 가능성도 있어 은행과 투자자 모두 지수 추이에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홍콩 H지수 ELS 최다 판매사인 국민은행은 오는 27일부터 중도해지를 포함해 올해 1월 만기가 도래한 6300여건의 ELS 손실 확정 계좌를 대상으로 자율배상 협의에 들어간다.

국민은행은 관련 위원회를 통해 만기 도래 순서에 따라 계좌별 배상 비율을 확정하고, 해당 고객에게 자율배상 조정 절차와 방법을 담은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예정이다. 이후 개별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점 직원이 다시 전화로 안내한다.

하나은행도 지난 주말 배상위원회를 열고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다수의 고객과 협의·조정에 들어간다. 하나은행은 자율배상을 신속히 진행하기 위해 관련 전산 시스템을 구축했고 앞으로 매달 격주로 배상위원회를 개최해 배상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이번 주에만 합의 사례가 1000건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은 이미 지난 23일까지 820건에 대한 배상 협의를 마치는 등 은행권에서 가장 배상 협의 속도가 빠른 편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정상혁 은행장이 ELS 투자 손실 고객들에 대한 조속한 배상을 강조한 만큼 최대한 조정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ELS 판매액이 가장 적은 우리은행도 지난 달 16일 처음으로 배상금을 지급한 이후 배상 절차가 이어지고 있다.

농협은행도 이번 주 중 수백 건의 자율배상 성사를 앞두고 있다. 지난 21일 자율배상 조정 신청을 받기 시작한 뒤 모두 667건이 접수됐다. 다만 아직까지 첫 배상금 지급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 배상 비율에 이의를 제기한 69건을 제외한 598건은 이르면 이번 주 중 배상금 지급과 함께 조정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최근 6600대까지 회복한 홍콩 H지수도 ELS 손실 배상 협의의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홍콩 H지수가 오르면 원금을 지키지는 못하더라도 손실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오는 8월 이후부터는 홍콩 H지수가 6500선만 넘어도 만기 도래하는 5대 은행 ELS에서 거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21년 8월 이후 H지수가 급격히 떨어져 만기 시점의 이익 분기점도 그만큼 낮아졌기 때문이다.

가입 당시 대비 홍콩 H지수가 65~70% 수준만 된다면 관련 ELS에서는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다.

상품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가입 기간에 한 번이라도 기초자산 가격이 가입 시점보다 50% 초과 하락'과 같은 조건이 붙은 녹인형은 녹인 발생 시 통상 70%인 최종 상환 기준선을, 녹인 미발생 시 통상 50%인 녹인 기준을 넘으면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노 녹인형은 65% 정도가 수익상환 기준선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