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년된 美의 대표적 소비자단체…독립적 제품평가로 신뢰도 높아
텔라도 CEO "안전벨트도 과거엔 의무 아니었다…AI에 투명성·공정성 요구"
美 컨슈머리포트 CEO "생성형 AI에 소비자 권리 반영 필요"
'챗GPT'로 대변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소비자단체가 AI에 대한 감시 활동을 본격화하고 나섰다.

그동안 소비자단체의 주된 관심이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 내구 소비재와 관련한 가격 및 품질, 안전 이슈에 있었지만, 시대변화에 따라 첨단기술과 관련한 소비자 권리 보호로 관심 범위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미국의 대표적 비영리 소비자단체인 컨슈머리포트는 지난 22일(현지시간) 뉴욕주 용커스 본사에서 뉴욕외신기자센터 초청 행사로 제품 비교 시험장 현장을 공개하고 최근 첨단기술 변화에 대응한 소비자 권리 보호 노력을 소개했다.

컨슈머리포트는 1936년 창립된 미국의 대표적 비영리 소비자단체다.

원래 단체명은 미 소비자협회(Consumers Union)이고, 컨슈머리포트는 이 단체가 발간한 잡지명이었는데 2012년 잡지명으로 단체이름을 바꿨다.

업체로부터 시험용 제품을 협찬받지 않고 시중에서 직접 사들여 시험하는 데다 구독료와 회원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독립적인 비영리 단체다 보니 미국 소비자들로부터 오랜 기간 높은 신뢰를 받아왔다.

특히 자동차나 카시트, 유아용품 등 안전이 중요한 구매 요인인 제품의 경우 컨슈머리포트의 평가가 소매자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美 컨슈머리포트 CEO "생성형 AI에 소비자 권리 반영 필요"
최근 들어 컨슈머리포트가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주제는 인공지능이었다.

마르타 텔라도 컨슈머리포트 최고경영자(CEO)는 "챗GPT 혁명이 시작된 지금이야말로 AI가 투명성과 정확성, 공정성을 우선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최선의 시기"라고 말했다.

생성형 AI의 규제를 둘러싸고 많은 논쟁이 있지만, 기업들이 책임성 있게 행동하고 정책당국 역시 소비자의 권리와 이익을 우선시할 수 있도록 초기 단계부터 소비자단체가 소비자 관점에서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텔라도 CEO는 "과거엔 자동차에 안전띠가 없었던 시절도 있었다"며 "지금은 안전띠를 의무적으로 갖추도록 하는 법규가 있지만, 컨슈머리포트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제도화로 이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규제 필요성을 인식하더라도 제도화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단체가 소비자 관점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기업이 바뀔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텔라도 CEO는 "생성형 AI 분야는 매우 빨리 진화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그 진화 과정에서 우리가 테이블에 함께 있는 게 중요하다"며 "그래야 우리가 소비자의 관점을 반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AI는 국경이 없기 때문에 이 주제는 모든 나라에 해당하는 이슈"라고 언급했다.

美 컨슈머리포트 CEO "생성형 AI에 소비자 권리 반영 필요"
한편 자동차나 가전제품도 소비 트렌드 및 소비자 행태 변화에 따라 소비자단체가 새롭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이 생겨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게 최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확산에 따른 전후방 시야 확보 문제다.

컨슈머리포트의 차량 테스트 담당자는 "SUV는 운전자의 시선이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승용차보다 넓다"라며 "이 때문에 전방 사각지대에 어린아이가 있을 때 시동을 켜면 경보를 울리는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 같은 경보장치는 법적으로 의무화되지 않았지만, 제품평가 때 이 같은 요인들을 반영, 자동차 제조사들이 장착할 유인을 만들고 있다는 게 컨슈머리포트 측의 설명이다.

전기차 보급 확산에 따른 트렌드 변화도 새롭게 대응해야 하는 과제다.

제이크 피셔 자동차테스트 센터 수석디렉터는 "내연기관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소비자가 자신에게 맞는 자동차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 있어 그 어느 때보다 혼란스러운 시기"라며 "편향되지 않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 드물어진 가운데 우리가 그런 역할을 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우리가 이곳에서 진정으로 하고자 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바람직하도록 시장을 바꿔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美 컨슈머리포트 CEO "생성형 AI에 소비자 권리 반영 필요"
일반 가정집과 유사하게 꾸며진 로봇청소기 시험장에서는 기본적인 청소 성능이나 가격 외에 사생활 보호를 위한 보안 취약점 평가도 이뤄지고 있었다.

릴리언 카이지 컨슈머리포트 검사·리서치·인사이트 부문 부사장은 "진공청소기는 우리가 오랜 기간 테스트를 해온 제품이지만 최근엔 로봇청소기가 보급되면서 우리의 테스트 방식도 바꿔야 했다"며 "최근 들어 소비자들은 특히 로봇청소기가 수집하는 정보가 악용될 가능성에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사생활 보호를 위한 테스트는 우리가 중요하게 여기는 테스트 중 하나"라며 "이는 로봇청소기뿐만 아니라 TV, 스마트워치, 카메라가 설치된 초인종 등 다른 제품이 모두 포함된다"라고 강조했다.

로봇청소기 시험장 담당자는 "카메라 기능이 있는 로봇 청소기를 대상으로 해킹 등 보안 취약점을 평가하고 있으며 아직 큰 위험은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많은 사람이 사생활 보호 우려를 제기하지만 그렇다고 카메라 설치를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는 방식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