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여건 안 된다는데 현장 말 안 들어"…"환자 곁은 지킨다"
의대 증원 확정에 의사들 "예상대로…정부, 향후 파국 책임져야"
27년 만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이 확정되자 의사단체들은 예상했던 수순이라면서도 향후 증원에 따른 여파는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비대위원장은 24일 증원 규모 확정 직후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정부가) 절차대로 입학전형 시행계획을 승인한다고 했으니 예상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오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올해 고3 학생들에게 적용할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승인했다.

이에 따라 2025학년도 의대(의전원 포함) 모집인원은 전년(3천58명) 대비 1천509명 늘어난 40개 대학 4천567명이 된다.

각 대학이 이달 31일까지 홈페이지에 모집 요강을 올리면 모든 절차가 끝난다.

최 비대위원장은 "증원이 확정되면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의대생이 유급되면 내년에 새로 들어오는 의대생은 8천명가량으로, 이들을 데리고 의대 교육이 (제대로) 진행될 수가 없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전공의는 내년까지도 계속 복귀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으면 전문의 배출이 안 되고, 내후년엔 임상강사가 배출 안 돼서 파국이 벌어질 텐데 (그 결과는) 정부가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증원 절차가 완료돼도 (교수들은) 환자를 지킬 것"이라며 "그건 달라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배장환 충북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교육 여건이 안 된다는데 (정부가) 현장의 말은 하나도 안 듣는다"며 "대통령은 4∼5년 뒤 자기는 없을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개탄했다.

이어 "이렇게 증원해버리면 나중에 진짜 심각한 의료문제가 닥친다"며 "전문의가 안 나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