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기준치 이내거나 외국과 비교해 농도 비슷하거나 낮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76종 검출…"식수 생산에 우려 없는 수준"
낙동강에서 미량오염물질을 조사한 결과 76종이 검출됐지만 강물을 취수해 식수를 생산하는 데는 영향이 없는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작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조사는 과학원 왜관수질측정센터가 과거 낙동강에서 검출됐거나 다른 나라에서 관리 또는 관리하려고 하는 물질 114종을 대상으로 왜관지점에서 주 2회, 강정·남지·물금지점에서 월 1회 존재 여부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검출된 물질은 총 76종으로 과불화화합물 12종과 금속류 7종을 비롯해 산업용 물질 29종, 농약류 32종, 의약물질 15종 등이다.

이 가운데 국내외에 기준이 있는 물질은 17종이며 이번에 검출된 농도가 모두 기준치 이내였다.

여기서 기준은 국내 수질환경기준·먹는물수질기준·먹는물감시기준과 세계보건기구(WHO)·미국 환경보호청(EPA) 먹는 물 기준을 말한다.

기준이 없는 59종은 농도가 외국에서 검출되는 수준과 비슷하거나 낮았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 먹는 물 생산에 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라고 설명했다.

과학원은 올해부터 왜관수질측정센터와 낙동강 하류 매리수질측정센터를 연계 운영해 강 전 구간에서 미량오염물질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