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었고 격차가 계속 좁혀지고 있지만, 남녀 임금 격차는 여전하다는 평가다.

2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의 91.6%로 역대 가장 높다. 이 수치는 2019년 89.7%에서 2020년 90.4%로 90% 선을 처음 돌파했고 2021년 90.6%에 이어 2022년 더 높아졌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1992년 2만6천달러 수준에서 2011년(4만252달러) 처음 4만달러 선을 넘은 데 이어 최근 5만달러 선에 근접해 OECD 평균과의 격차가 계속 줄고 있다. 2022년 기준 한국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다.

1위는 아이슬란드로 7만9473달러였다. 이어 룩셈부르크(7만8천310달러), 미국(7만7천463달러), 스위스(7만2천993달러), 벨기에(6만4천848달러), 덴마크(6만4천127) 등 순이었다.

일본은 4만1천509달러로 25위 수준이었다. 한국 평균 임금이 일본의 1.2배인 셈이다. 근로자 평균임금은 한국이 2014년 4만746달러로 일본(4만257달러)을 처음 역전한 후 10년째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다만 성별, 기업 규모별, 근로 방식별로 격차가 심한 상황이다.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1위다. 일본은 21.3%, 미국은 17.0%였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은 월 591만원(세전 기준)으로 중소기업(286만원)의 2.1배였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만4천799원으로 비정규직(1만7586원)의 1.4배였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