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C 규칙안 공개…"딥페이크로 유권자에 허위정보 제공 가능성"

美, TV·라디오 정치광고에 AI 활용 여부 명시 추진
오는 11월 예정된 미국 대선 과정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허위 정보가 만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한 가운데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정치 광고에 AI를 사용할 경우 이를 명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제시카 로즌워슬 FCC 위원장은 22일(현지시간) "AI 도구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이런 기술이 사용될 경우 시청자들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이런 규칙안을 공개했다.

FCC는 보도자료에서 "AI는 올해는 물론 그 이후 정치 광고를 만들 때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그러나 정치광고에서 AI의 사용은, 특히 딥페이크(특정 인물의 얼굴 등을 영상에 합성)를 통해 유권자에게 허위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규칙안이 FCC에서 채택되면 TV, 라디오, 케이블 등의 정치 광고에서 콘텐츠 생성에 AI가 생성됐는지 여부를 공개해야 한다.

규칙안에는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 규칙은 정치 광고에서 AI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은 아니며 FCC가 관할하지 않는 온라인 및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Over the Top) 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앞서 FCC는 지난 2월 전화 마케팅에 AI를 활용한 가짜 목소리인 '오디오 딥페이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 바 있다.

이 결정은 당시 뉴햄프셔주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 프라이머리(예비선거)를 앞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의 목소리를 활용한 '가짜 바이든 대통령 전화' 선거운동이 진행된 것이 계기가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