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에 세금수입 송금 중단 등 '징별적 대응'도 제안
이스라엘 극우, 팔 국가인정에 동예루살렘 성지 방문 '맞불'
유럽연합(EU) 회원국인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기로 하자 이스라엘의 극우성향 정치인이 동예루살렘 성지를 방문하며 맞불을 놨다.

22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스라엘 우파 연정 내 대표적인 극우성향 정치인 이타마르 벤-그비르 국가안보장관은 이날 이슬람 3대 성지인 알아크사 사원 경내를 방문했다.

경찰관의 호위를 받으며 경내를 걷던 그는 영상을 통해 "노르웨이, 스페인, 아일랜드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것은 누크바(작년 10월 7일 이스라엘 공격을 주도한 하마스의 해군 특수부대)와 살인자, 학대자에게 상을 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 이날 저녁 공개될 하마스의 이스라엘 여성 납치 영상을 언급하면서 "오늘 밤 우리는 하마스가 왜 완전히 파괴돼야 하는지에 대한 증거를 추가로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마스를 무너뜨리기 위해서 우리는 끝까지 라파(가자지구 최남단 도시)에 가서 뿌리를 뽑아야 한다"면서 "가자지구에 대한 연료 공급을 끊고 인도적 지원도 제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그가 방문한 성지는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점령한 동예루살렘 구시가지에 있다.

팔레스타인은 독립 국가를 건설할 때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삼고자 한다.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의 성지인 이곳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민과 이스라엘 경찰간 충돌도 끊이지 않는다.

벤-그비르 장관은 2022년 연말 취임 이후 여러 차례 이곳을 방문해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이슬람권의 공분을 샀다.

이스라엘 연정 내 또 다른 극우 정치인인 베잘렐 스모트리히 재무장관은 아일랜드와 노르웨이, 스페인의 팔레스타인 국가인정에 대한 '징벌적 대응'을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에게 제안했다.

그가 제안한 대응에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에 대한 세금수입 송금 중단도 포함됐다.

이스라엘은 자국을 경유하는 팔레스타인 수출입품에 대해 관세를 대신 징수한 뒤 이를 PA에 일괄 송금하는데 팔레스타인과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송금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PA를 압박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