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조선업계가 친환경, 디지털 전환 중심으로 선박 기술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부산시는 관련 생태계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해 기술 개발 지원과 함께 지원 정책 등을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한국조합)과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부산조합)은 각각 스마트 기자재 통합 성능인증 플랫폼과 스마트 물류 플랫폼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국조합은 부산 영도구의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선박용 스마트 기자재 통합 성능인증 플랫폼 조성 사업’에 선정됐으며, 국비 등 총 200억원을 투입해 친환경 스마트 선박 전자기의 핵심 기술인 통합전기추진체계(IFEP)와 스마트항해통신시스템(SNCS)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성능 인증 설비가 갖춰지면 전기 기반의 추진 시스템과 자율 운항 시스템을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부산조합은 디지털 전환 기술을 활용해 조선 기자재 관련 기업의 물류 시스템 개선에 나섰다. 소형 트럭으로 개별 납품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일괄 공동 납품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개별 중소기업의 조선소 납기 정보를 공유하고, 디지털 전환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운송 시스템과 혼적 시뮬레이터, 지능형 경로 최적화 시스템 등을 도입할 예정이다. 부산조합 관계자는 “혼적 화물 운송 체계가 만들어지며 개별 중소기업의 납품 물류비가 20%가량 절감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학 차원에서 개발 중인 선박 기술은 해외에서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는 개발 중인 해양 쓰레기 처리 수소 선박 기술과 관련해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와 항만 인프라 구축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 기술은 배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해 선상에서 처리하는 것으로, 수거된 쓰레기를 처리해 수소를 만들어 선박 동력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현재 쓰레기 수거와 선별 시스템을 비롯해 수전해 수소 생산 모듈,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LNG와 수소 기반의 하이브리드 전력 모듈 기술 등 7개 기술을 개발 중이다.

부산시도 조선업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생태계 구축 작업에 나섰다. 시는 지난 16일 조선업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대선조선과 HJ중공업 등 중소 조선소와 부산조합 중심의 조선기자재업계를 아우르는 민간 협의체를 구성했다. 여기에 선박 설계 기업이 모인 조선해양플랜트엔지니어링협동조합, 해양금융종합센터, 삼성중공업 부산연구개발센터 등도 협력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2030년까지 1조3700억원가량을 투입해 선박 기술 고도화 등을 지원하겠다”며 “인력 양성이나 업계의 디지털 전환 등의 대책이 포괄적으로 담겼다”고 밝혔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