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칩 '2강' 모두 亞최초 대만에 R&D 센터…신임총통, '실리콘섬→AI 섬' 변화 강조
엔비디아 이어 AMD도 대만 R&D센터…라이칭더 "AI 섬" '착착'
미국 반도체기업 AMD가 50억대만달러(약 2천112억원)를 투입한 연구개발(R&D) 센터를 대만에 설립할 예정이라고 EBC 방송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이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 소식통은 AMD가 아시아 최초의 R&D 센터를 대만에 설립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해당 소식통은 AMD가 지난 20일 대만 경제부에 이와 관련한 신청 서류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AMD가 대만의 집적회로(IC) 설계자와 협력해 AI(인공지능) 칩을 사용하는 서버도 대만에서 생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대만 경제부는 대만 내 R&D 인력을 놓고 AMD와 대만 기업이 채용 경쟁을 피하도록 AMD에 R&D 관련 외국인 인력 20% 채용을 요구했다고 언론은 전했다.

대만도 R&D 인력난을 겪는 만큼, 해외 우수 인재를 대만으로 데려오라는 요구다.

아울러 한 정부 관계자는 AMD가 대만 정부가 2020년부터 시작한 인공지능(AI), 차세대 전력반도체, 새로운 5G 구조 등 3가지 분야 관련 'A+ 산업혁신 R&D 프로그램'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국내외 테크 기업의 대만 투자를 유도해 대만이 글로벌 R&D의 허브가 되도록 장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격이 부합하는 기업은 투자 금액의 최대 50%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만언론에 따르면 AI 칩 선두 주자인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는 앞서 지난 2021년 이 프로그램에 따른 대만 투자 계획을 승인받았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는 243억 대만달러(약 1조원)를 투입해 아시아 최초로 대만에 1천여명이 근무하는 'AI 혁신 R&D 센터'를 건설 중이다.

이에 대만 당국도 67억 대만달러(약 2천828억원)를 보조한다.

다른 소식통은 대만 남부 타이난 출신인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일 취임한 라이칭더 신임 총통에게 '선물 보따리'를 내놓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수 CEO가 내달 초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정보기술(IT) 전시회 '컴퓨텍스' 기간에 라이 총통 및 행정부 인사들과 만나 AMD의 최신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AMD는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고 언론은 전했다.

한편, 라이칭더 신임 대만 총통은 지난 20일 취임 연설에서 "지금의 대만은 반도체 선진 제조 기술을 장악해 AI 혁명의 중심에 서있다"면서 "글로벌 AI화 도전에 직면해 우리는 반도체 칩 실리콘 섬의 기초 위에 서서 전력으로 대만이 'AI 섬'이 되도록 추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I 산업화와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산업의 AI화와 AI 컴퓨팅 파워를 이용해 국력과 군사력, 인적 역량, 경제력을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엔비디아 이어 AMD도 대만 R&D센터…라이칭더 "AI 섬" '착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