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 홍릉 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 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2일 서울 홍릉 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 개막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삼성전자와 네이버, 오픈AI, 구글 등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이 안전한 AI 사용을 위한 ‘서울 AI 기업 서약’을 발표했다.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 AI 연구원,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기업과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앤스로픽, IBM, 세일즈포스, 코히어 등 해외 기업 총 14곳은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의 성과로 서울 AI 기업 서약을 공개했다. AI 글로벌 포럼은 21일 개막한 AI 서울 정상회의의 연계 행사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번 서약은 과기정통부가 국내외 기술기업과 함께 ‘서울 선언’의 비전에 따라 기업이 AI 책임과 발전, 이익 공유를 위해 추구할 방향을 담은 자발적 약속으로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서약에는 AI의 책임 있는 개발과 활용을 위해 AI 안전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워터마크 등 AI가 생성하는 콘텐츠 식별을 위한 조치와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AI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위해 첨단 AI 모델과 시스템 개발에 투자하는 것은 물론 공동 프로젝트와 펀드 조성 등을 통해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과 협력하고 인턴십과 교육 프로그램 등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AI의 공평한 혜택 보장을 위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AI 서비스를 출시하고, 글로벌 난제 해결을 위한 AI 솔루션을 개발해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일 것도 약속했다.

앞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안전, 혁신, 포용은 AI 서울 정상회의와 글로벌 포럼의 주요 주제”라며 “안전한 기능이 세계 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생성형 AI는 국경을 초월하고 별개의 윤리 기술과 경제적 시사점을 가진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준다”며 “집단적 지혜를 활용해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일관된 비전을 만들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날 AI 글로벌 포럼 개회식에는 AI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앤드루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창업자 마크 레이버트가 기조연설자로 참여했다. 응 교수는 “기업들이 AI를 안전하고 책임 있게 쓸 수 있도록 근로자를 교육해야 한다”며 “정부는 기술 자체가 아닌 AI를 활용한 나쁜 앱을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레이버트는 “인류의 여러 문제를 로봇과 AI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면서도 “아직 노력과 개발,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