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전 정상회담 때와 국제정세 달라져…"러 후원 속 日과 협상 필요 줄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정상회담 추진에 계속해서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지만 물밑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져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2일 보도했다.

日언론 "북일 정상회담 물밑협상 교착상태"…北측 절박성 준 듯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작년 3월과 5월 동남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북한 조선노동당 관계자와 접촉했으며, 일본 고위 당국자를 평양에 파견하는 방안도 논의됐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북일 정상회담을 위한 교섭이 정체 국면에 들어가 있다.

다만 기시다 총리는 여전히 북일 정상회담에 대해 의지를 밝히고 있다.

그는 지난 11일 도쿄에서 열린 납북 피해자 귀국 요구 집회에 참석해 "북일 정상회담 실현을 위해 총리 직할 고위급 협의를 진행하고 싶다"며 "이를 위한 요구를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러 현안 해결이라는 쉽지 않은 과제에서는 정상끼리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하는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산케이신문은 정확히 20년 전 북일 정상회담을 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과 현 기시다 정권을 비교하면서 북한과 극비 협상 채널로 활로를 찾으려는 모습은 겹치지만 "성과를 거둘지는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2004년 5월 22일 고이즈미 당시 총리는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했고 회담 성과로 북한에 의해 납치된 일본인 피해자 가족 5명이 귀국하기도 했다.

일본 정부는 그 뒤에도 북한과 대화 기회를 모색했지만, 눈에 띄는 진전은 보지 못했다.

특히 기시다 총리는 총리 직할 고위급 협의를 통한 북일 정상회담 추진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혔다.

이와 관련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와 북한이 접근하는 등 국제 정세 변화가 납치 문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며 북한으로서는 러시아의 후원을 받게 된 상황에서 일본과 진정성 있는 협상을 할 필요가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러시아에 대한 무기 수출로 외화를 벌 수 있는 상황에서 경제 지원을 받기 위해 일본에 접근할 절박성이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