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자랑스런 한국이민자 아들…새 리더십으로 젊은층에 다가갈 것"
"新고립주의 해악 커…대외관여가 미국을 더 안전하게 해"
한인 첫 美상원의원 도전 앤디김 "당선돼서 의회에 다양성 강화"
한국계 첫 미국 연방 상원의원에 도전 중인 앤디 김 연방 하원의원(41·민주·뉴저지)은 20일(현지시간) "나는 매우 자랑스러운 한국인 이민자의 아들"이라며 자신의 당선으로 미국 의회에 다양성을 강화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유전공학자였던 부친과 간호사였던 모친 사이에 이민 2세대로 태어나 미국의 공교육을 받으며 이 자리까지 오게 된 자신의 이력을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태어나 뉴저지주에서 자란 김 의원은 시카고대를 졸업하고 로즈 장학생으로 선발돼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국제관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중동 안보 전문가다.

이라크 전문가로 2009년 9월 국무부에 들어가 2011년에는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아프간 주둔 미군 사령관의 전략 참모를 지냈고, 2013∼2015년에는 국방부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각각 이라크 담당 보좌관을 역임한 뒤 2019년부터 연방 하원의원(3선)으로 재임하고 있다.

같은 민주당의 뉴저지주 상원의원인 밥 메넨데스가 수뢰 혐의로 작년 기소되자 김 의원은 메넨데스의 자리에 출사표를 던졌고, 첫 관문이자 본선 이상으로 힘든 당내 경선 승리가 유력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당선되면 첫 한국계 연방 상원의원이 되며 동시에 동부 연안 지역에서 처음 나오는 아시아계 연방 상원의원이 된다"며 "의회에 다양성을 더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 나는 설렌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당선되면 미국 역사상 4번째로 어린 상원의원이 된다면서 6세, 8세 두 아들을 둔 '젊은 부모'로서 의회에서 교육, 보건 등과 관련한 많은 도전에 직면한 젊은 유권자들에게 다가가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히 젊은 층에 기성 정치에 대한 불신 및 좌절과 새로운 세대의 리더십에 대한 목마름이 존재한다면서 상원에 진출하면 당의 조직적 지지가 경선을 좌우하는 정치 시스템 등을 개혁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나는 의회에 있으면서 불행히도 점점 많은 사람이 미국에서 신고립주의를 추구하는 것을 본다"면서 "나는 그 해악이 매우 크고, 우리에게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미국의 세계적 힘(영향력)의 많은 부분은 우리의 관여와 리더십에서 나오고, 그것은 우리의 경제를 더 강하게 만들고, 우리나라를 더 안전하고 안정되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어 신고립주의는 "우리를 더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며 "푸틴과 같은 권위주의 지도자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성공하면 우리를 시험하려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의원은 자신이 과거 아프가니스탄 근무 시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유럽 파트너들로부터 보호를 받았다면서 "우리는 이들 동맹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의회 안팎의 그 지지 세력들이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면서 동맹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고, 미국의 대외 개입 자제를 촉구하고 있는 상황에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우크라이나 추가 지원 예산이 지난달 의회를 통과하기까지 6개월간 하원 공화당 의원들의 반대 속에 표류했던 상황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