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광양제철소 선강부문 다자녀 격려 간담회 참석자들이 가족 행복과 건강을 기원하는 축구공을 선물 받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지난 4월 광양제철소 선강부문 다자녀 격려 간담회 참석자들이 가족 행복과 건강을 기원하는 축구공을 선물 받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에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남성 직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포스코가 내세운 ‘지속적인 가족 출산 친화 문화 조성’이란 기조를 유지한 결과다. 포스코의 남성 육아휴직 인원은 2019년에는 33명에서 지난해 115명으로 4배가량 늘었다.

포스코에선 육아휴직과 함께 육아 목적으로 유연근무제를 사용한 남성 직원 수도 급격히 증가했다. 사내 유연근무 사용 남성 직원은 2019년 416명에서 2023년 721명으로 급증했다

포스코는 남성 직원들이 육아휴직과 유연근무를 늘릴 수 있도록 기업 문화를 조성해왔다. 포스코는 직원들이 마음 편히 육아휴직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 여건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 육아휴직 기간을 법정 기준보다 1년 더 부여해 자녀당 2년으로 사내 규정을 정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직원이 승진할 경우에는 육아휴직 기간은 모두 근속연수로 인정한다. 육아 휴직 탓에 나타나는 불이익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다. 또 휴직이 끝난 뒤 복귀할 때도 직원들의 희망부서와 경력을 우선 고려해 배치하고 있다.

2022년 국내 최초로 네 쌍둥이를 자연분만한 포스코 직원은 이 같은 제도 덕을 톡톡히 봤다. 김환 포스코 대리 얘기다. 김 대리는 2년 4개월간의 육아휴직 기간 중 사원에서 대리로 승진하기도 했다. 부서와 본인의 자녀 육아 여건 등을 종합 고려해 최근 희망부서로 배치됐다.

포스코에서는 남성 직원들의 육아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이전보다 더 확산시키고 있다. 세 자녀를 둔 윤지홍 광양제철소 제선부 부공장장은 둘째 아이가 태어난 뒤 7개월간 육아휴직을 신청했다.

윤 부공장장은 “당연히 아빠가 아이를 함께 키워야 한다고 지원해주신 직책자 분들과 동료 직원분들 덕분에 마음 편히 휴직을 다녀올 수 있었다”며 “복직 후 가족, 동료들과 더욱 돈독해져 회사에서의 성과도 더 올라 고과까지 좋아졌다”고 강조했다.

지난 4월에는 광양제철소 선강부문 임원이 먼저 나서 세 명 이상의 다자녀를 둔 남성 직원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선 임원과 사원들이 육아와 회사 생활에 대해 함께 공감하고 제도 개선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직원들은 입을 모아 “임원과 직원이 한 가정의 아버지로 육아 경험과 노하우를 나누고, 관련 제도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할 만큼 회사의 분위기가 달라졌음을 느낀다”고 했다.

포스코는 기업 문화를 지속해서 바꿔나갈 계획이다. 가족 출산 친화 문화 확산을 위한 조치다. 올해는 직원들이 자신의 생애주기에 맞춰 사내 가족 출산 친화 제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안내를 강화할 예정이다. 현행 제도도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직원들이 유연하게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춰 나갈 방침이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