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경제발전 초기엔 부의 불평등 심화…성숙기 들어서야만 빈부 격차 줄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내총생산(GDP)은 나라의 정치적 핵심 과제이자 경제적 성공 지표였다. 대니얼 서스킨드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교수는 신간 <성장: 역사와 평가>에서 경제 이념과 정책 목표, 불안의 근원으로서 성장을 다룬다.

서스킨드 교수는 “석기시대 수렵 채집인과 18세기 사람 간 공통점이 있다면 두 시대 사람 모두 경제적 정체를 겪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장기 침체는 1939년 이 용어를 처음 언급한 앨빈 한센 미국 하버드대 교수나 2014년 세계 경제 장기정체론을 주장한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 관찰한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거의 모든 인류가 겪은 역사라는 설명이다.

서스킨드 교수는 경제 도약의 원동력을 분석하는 경제학자의 생각이 진화하는 과정을 따라간다. 먼저 1930년대와 1940년대 건물, 기계, 도로 등과 같은 물리적 자본의 축적을 연구한 로이 해로드와 에브시 도마에서 출발한다. 폴 로머와 로버트 루커스는 1980년대 특별한 유형의 자본, 즉 지식이 축적되면 경제 전체에 걸쳐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엘 모키어의 연구도 아이디어와 지식이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동한다는 로머와 루커스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책은 성장의 정치적 측면도 살핀다. 대공황 기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생산량을 측정한 사이먼 쿠즈네츠는 불평등이 국부에 따라 처음에는 증가했다가 나중에는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쿠즈네츠 곡선’을 정립했다. 경제 발전 초기에는 부의 불평등이 심화하지만 경제가 성숙하고 안정될수록 빈부 격차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쿠즈네츠의 주장은 미국 정책 입안자들이 경제 성장을 우선 목표로 세우도록 유도했다.

성장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도 간략히 언급한다. 저자는 벤저민 프리드먼이 <경제 성장의 도덕적 결과>(2005)에서 경제 성장은 도덕적으로 유익한 사회·정치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 내용을 인용했다. 성장에 따라 대다수 시민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 더 많은 기회와 다양성에 대한 관용, 사회적 이동성, 공정과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을 촉진한다는 설명이다.

성장과 관련한 정책 제언도 내놨다. 그는 특정 분야의 아이디어 창조자에게 특허 대신 상금을 주는 방안을 제안했다. 독점을 만들지 않으면서 혁신에 인센티브를 제공하자는 것이다.

정리=신연수 기자

이 글은 WSJ에 실린 에드워드 글레이저의 서평(2024년 5월 13일) ‘The Urge To Grow’를 번역·편집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