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국한되지 않은 전국적인 군부독재 청산 운동 보여준 것"
"5·18 투쟁은 현재 진행형…다음 세대 공감 위한 의미화 필요"
'이세종 열사 5·18 최초 희생자 인정 의의는'…전북대서 세미나
"44년 만에 이세종 열사의 5·18민주화운동 첫 희생자 인정은 5·18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투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 전북행사위원회가 17일 전북대학교 박물관 강당에서 이 열사의 5·18 최초 희생자 인정을 기념하는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전북대 농과대 2학년이던 이 열사는 1980년 5월 17일 대학 학생회관에서 전두환 퇴진과 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농성하던 중, 계엄군이 교내로 진입한 다음 날 새벽 학생회관 바깥 바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군부는 이 열사가 도피를 위해 옥상으로 올라간 뒤 보안등에 매달려 있다가 추락했다고 봤고, 그간 이 열사는 5·18 관련 유공자로만 인정받아왔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 열사가 계엄군의 구타로 추락 전 이미 심각한 수준의 상처를 입었다'고 판단, 올해 2월 5·18민주화운동의 첫 희생자로 공식 인정했다.

이에 따라 기존 첫 희생자로 알려졌던 김경철 씨는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희생된 최초 사망자로 남게 됐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순석 전북민주주의연구소 부소장은 "국가기관이 발표한 5·18 기간 민간인 사망자 수가 정확히 추산되지 않는 것만 봐도 국가폭력 피해에 대한 인정과 보상을 받기가 절대 쉽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 열사의 최초 희생자 인정은 전북지역 민주화운동을 꾸준히 연구해온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열사의 투쟁은 5·18이 광주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인 군부독재 청산 운동이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며 "원광대 한의대 재학 중 계엄군의 총에 숨진 임균수 열사, 1988년 한반도 통일을 외치며 투신한 해성고 출신 조성만 열사 등에 대한 정례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전북지역 내 각 추모사업회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음 세대에게 공감받기 위해서 그의 5·18 정신을 의미화하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대길 전북민주주의연구소 소장은 "이 열사의 모교인 전북대와 전라고, 고향인 김제에 추모비가 세워져 있고 올해부터 전북대와 전라고 총동창회에서 매년 '이세종 열사 장학금'을 수여하기로 했다"며 "추모사업이 외형적으로 갖춰졌다고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전북은 물론이고 전 국민, 또 다음 세대에 이 열사를 알릴 수 있도록 의미화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 열사에 대한 사료 확보와 자료집 정리, 평전 편찬, 기념공원 조성 등으로 추모 사업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