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알리익스프레스
/사진=알리익스프레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 후 택배 폭탄을 받고 있다는 피해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16일 부산 남부경찰서는 A씨에게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계속 배달된다"는 신고를 받고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A씨는 중국을 기반으로 한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한 후 지난해 12월부터 주문하지 않은 물품이 50여차례 배송됐다고 경찰에 신고했다. 배달된 물품은 여성용 원피스뿐 아니라 자투리 천 조각, 빈 상자 등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이름과 연락처가 적힌 택배가 집 근처 초등학교나 관공서 등으로 배송되기도 했다.

A씨는 혹시 유해 물질이 들어있는 건 아닌지, 범죄에 연루되는 건 아닌지 겁이 나는 상황이라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고객센터에 전화해 반품과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본사가 아니라 결정 권한이 없다"는 답변받으면서 알리익스프레스를 탈퇴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부산 남부경찰서는 알리익스프레스 중국 본사를 상대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A씨와 같이 주문하지도 않은 택배가 잇따라 배송됐다는 피해 사례가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두고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가 물건을 구매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에게 택배를 발송해 판매 실적을 부풀리는 '브러싱 스캠'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이용자는 800만명이 넘어설 만큼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소비자 피해 사례도 1년 사이 3배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왔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를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 단체는 고발장을 통해 알리가 중국의 상품 판매처 18만 8000여 곳에 이용자 계좌와 전화번호, 주소 등 개인정보를 제공하면서 판매자들이 어떤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있는지 전혀 공개하지 않아 개인정보 침해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고발장을 접수 받은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개인정보위원회와 협의해 수사할 예정이다. 또, 공정거래위원회도 알리익스프레스의 개인정보 수집, 관리 실태 등을 살펴보고 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