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센터 확장 경쟁을 벌이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지난해 탄소 배출량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MS는 주요 공급업체에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 등을 포함한 100% 무탄소 전기를 쓰도록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MS는 15일(현지시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데이터센터 건설 붐으로 2020년 이후 총 탄소 배출량이 29.1% 늘었다”고 발표했다. 스코프 1, 2에 해당하는 직접적인 탄소 배출량은 2020년 대비 6.3% 줄었지만, 스코프 3(공급망)의 간접 배출량이 30.9%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주로 데이터센터 건설에 사용된 반도체, 연료, 건축자재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MS는 탄소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해 주요 공급업체에 2030년까지 100% 무탄소 전기를 사용하도록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2025회계연도 시작 시점부터 공급업체 행동 강령을 개정해 관련 내용을 넣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MS의 주요 공급업체인 삼성전자, 대만 리얼텍, SK하이닉스 등이 대상이 될 것”이라며 “다만 현재 이들의 탄소중립 목표 시기는 2030년 이후”라고 전했다.

MS는 이번 보고서에서 ‘무탄소 전기’는 신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전, 바이오매스, 수소, 지열, 탄소포집·저장(CCS) 등을 포함한다고 정의했다. 공급업체에 반드시 풍력·태양광 등 재생 가능 전기만 사용할 것을 요구하기보다 원자력, CCS 기술 등을 활용한 무탄소 전기를 폭넓게 허용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편 이날 일본 경제산업성은 AI 활용을 위한 2040년 탈탄소 에너지 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현재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 소비량 중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으로 각각 36~38%, 20~22%를 충당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2022년 기준 재생에너지는 21.7%, 원자력은 5.5%에 그쳤다. 일본 정부는 연내 원자로를 최대 3기까지 다시 운영할 계획이다.

김리안 기자/도쿄=김일규 특파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