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지원관' 무산…"내부 정리되지 않았고 권한 커질 우려"
전북도 조직개편안 의회 상임위 통과…디지털산업과 등 신설
전북특별자치도의 조직개편안이 도의회 상임위를 통과했다.

하지만 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신설하고자 했던 행정부지사 직속의 '행정지원관'은 무산됐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전북도 행정기구 설치 및 정원 운영에 관한 조례'가 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16일 밝혔다.

미래 먹거리 산업을 지원하고 조직 운영을 강화하고자 제출한 전북자치도의 원안(14실국 66관·과·단 269팀)에서 폐과, 통합, 신설 등을 거쳐 결과적으로 1개 팀이 늘어났다.

신설되는 부서는 김관영 도지사의 의지가 강했던 바이오방위산업과와 디지털산업과, 외국인 국제정책과다.

미래산업국은 미래첨단산업국으로, 농생명축산식품국은 농생명축산산업국으로 이름이 바뀐다.

또 새만금지원과는 새만금지원수질과, 기업애로해소지원과는 기업애로해소과, 청정에너지산업과는 청정에너지수소과로 각각 변경됐다.

한시 기구였던 특별자치도추진단이 폐지되는 대신 특별자치교육협력국이 새로 생긴다.

그러나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이었던 행정지원관 신설은 도의회의 반대로 무산됐다.

도는 집행부 인사, 총무 기능을 지닌 총무과를 행정지원관으로 변경해 행정부지사 직속으로 두려 했으나 도의회는 행정지원관 신설안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고, 행정지원관을 독립부서로 두면 권한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행정자치위원회 소속 김성수 도의원(고창 1)은 "도가 처음에는 총무 기능 전체를 행정지원관으로 옮기는 안을 제출했다가 나중에는 구두로 인사 파트만 옮기겠다고 했다"며 "아직 내부적으로도 행정지원관 업무에 대해 정리가 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원안대로면) 행정지원관은 직원뿐만 아니라 국장들 인사도 하는 시스템인데 (그렇게 되면) 아무래도 지금보다 (특정 부서에) 줄을 서려는 분위기가 강해지지 않겠느냐"며 "이러한 부분이 염려되니 좀 더 시간을 갖고 논의해보자는 취지"라고 덧붙였다.

도의회 상임위에서 수정, 가결된 전북자치도 조직개편안은 오는 17일 본회의를 거쳐 7월 1일 시행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