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5년 새 2배가량 불어났다. 지난해 연간 수익률도 연 5%대 수준으로 높아졌다. 국내외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다. 원리금보장형의 수익률은 4%, 실적배당형은 13%대로 큰 차이를 보였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2023년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382조4000억원으로 1년 전(335조9000억원)보다 13.8% 늘었다. 2018년(190조원)에 비해선 2배 이상 증가했다. 퇴직연금 적립금은 2016년 이후 해마다 10%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퇴직연금 유형별로 보면 확정급여(DB)형의 적립금이 205조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확정기여(DC)형 101조4000억원, 개인형 퇴직연금(IRP) 75조6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DB형과 DC형이 전년 대비 각각 6.7%, 18.1% 늘었고 IRP는 31.2% 뛰었다.

원리금보장형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체 적립금 중 원리금보장형에 투입된 자금은 333조3000억원(대기성자금 포함)으로 전체의 87.2%에 달했다. 실적 배당형에 투자된 자금은 49조1000억원 수준이었다. 실적배당형 운용비중은 2022년 11.3%에서 12.8%로 1.5%포인트 높아졌다. 원리금보장형은 예·적금, 보험 비중이 컸다.
2023년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사진=금융감독원
2023년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사진=금융감독원
퇴직연금의 지난해 연간 수익률은 5.26%로 전년(0.02%) 대비 5.24%포인트 높아졌다. 원리금보장형의 연간수익률은 4.08%를 기록했다. 기준금리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며 예금 등 원리금보장 상품의 수익률이 상승했다. 실적배당형의 수익률 13.27%로 원리금보장형을 크게 웃돌았다. 작년 코스피 지수가 18.7% 상승하는 등 국내외 증시가 강세를 보인 덕이다. 최근 5년간 연 환산 수익률은 2.35%, 10년간 연 환산 수익률은 2.07%를 기록했다.

총비용부담률은 하락세다. 총비용부담률은 퇴직연금 적립금에서 계좌 관리 수수료, 펀드 보수 등이 차지하는 비율로 고객이 퇴직연금 운용 시 실제로 부담하는 비용이다. 퇴직연금 총비용 부담률은 0.372%로, 1년 전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퇴직연금 수령이 시작된 계좌 중 연금수령 비중은 10.4%로 퇴직연금 제도 이후 처음으로 10%를 돌파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총 수급 금액 15조5000억원 중 49.7%(7.7조원)가 연금으로 수령됐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