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초·중등 디지털 인프라 개선 계획' 발표
'디지털 인프라 전담 관리' 디지털 튜터·테크매니저 배치
디지털교과서 도입 눈앞…내년까지 전국 초중고 네트워크 점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맞춰 정부가 내년까지 전국 초·중·고교의 네트워크 환경을 점검한다.

학교의 디지털 기기 관리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디지털 기기 관리 전담 인력인 '디지털 튜터'와 '테크 매니저'도 지원한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의 '초·중등 디지털 인프라 개선 계획'을 14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중앙 정부 차원에서 학교 디지털 인프라의 물적·인적 분야를 통합 수립한 최초의 종합 개선 대책으로, 총 963억원이 투입된다.

내년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AI 디지털교과서가 초·중·고교에 차례로 도입되는 가운데 학교 현장의 디지털 환경을 개선하면서 학교의 인프라 관리 부담은 줄이겠다는 취지다.

교육부는 우선 AI 디지털교과서 사용에 대비해 올해 전국 초·중·고 6천개교에 총 600억원을 지원해 네트워크 속도, 접속 장애 등을 점검·개선한다.

내년에도 추가로 6천개교의 네트워크 환경을 점검해 전체 초·중·고교 약 1만2천개교의 네트워크 환경을 전수 점검할 방침이다.

학교 유·무선 네트워크 통합 관제 시스템의 기능을 확대하고 AI 학습데이터 보안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학습데이터 허브 통합관제 시스템'(가칭)도 새롭게 구축한다.

아울러 학교 현장의 디지털 인프라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전담 인력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교원의 AI 디지털교과서 수업을 직접 보조하고 디지털 기기 관리를 전담하는 디지털 튜터 1천200명을 양성·배치할 계획이다.

관내 학교의 디지털 기기와 네트워크 품질을 사전에 점검하고 장애가 발생할 때 조치하는 일괄(원스톱) 통합지원센터로서 기능하는 '기술지원기관'(테크센터)도 전국 시도교육(지원)청 총 170곳에 설치한다.

기술지원기관에는 기술전문가(테크매니저)가 배치돼 관내 학교의 인프라 장애 사전 관리부터 사후 대응까지 전 주기 관리를 전담한다.

디지털교과서 도입 눈앞…내년까지 전국 초중고 네트워크 점검
이와 함께 교육부는 AI 디지털교과서가 학교에서 사용 중인 디지털 기기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실제 수업 환경과 유사한 '디지털 기기 실험실'(디바이스 테스트랩)을 구축한다.

17개 시도교육청별 점검지원단을 구성해 전국 초·중·고교에 보급된 디지털 기기 관리·활용 실태도 전수 조사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기기 보급부터 유지·관리, 폐기까지 이르는 단계별 공통 기준과 절차·방법을 담은 '디지털 기기 전 주기 관리 지침(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학생의 디지털 매체 과노출을 예방하고 유해 정보를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한 기기 관리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내년도 AI 디지털교과서 본격 도입을 앞두고 학교 디지털 인프라의 질적 수준은 최대한 높이고 교원의 관리 업무 부담은 최소화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