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센서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핵심 반도체다. 사람이 눈으로 보는 장면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픽셀플러스는 이미지센서를 설계하는 유일한 국내 중소기업이다. 이 회사는 2003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이미지센서를 설계해 주목받았다. 당시 이 제품은 삼성전자 애니콜에 장착됐다.

'이미지센서 강자' 픽셀플러스, "자율주행 시대 車 전장 공략"
이서규 픽셀플러스 대표는 지난 1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초소형 이미지센서가 우리의 경쟁력”이라며 “이 기술력을 토대로 2030년 글로벌 톱5 업체로 발돋움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자동차업계의 이미지센서 수요 증가에 기대를 걸고 있다. 그는 “전후좌우 네 방향을 모두 살피는 서라운드뷰모니터(SVM)의 수요가 늘고 있다”며 “차 한 대에 들어가는 이미지센서가 그만큼 늘어난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또 “자율주행차에는 운전자모니터링시스템(DMS)을 장착해야 해서 차 내부 상황을 인식하는 이미지센서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픽셀플러스는 일본 주요 완성차업체에 SVM 이미지센서를 공급하고 있다. 이 대표는 “관련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며 “올해는 국내 완성차에도 우리 이미지센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영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 전장용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회사는 글로벌셔터 연구에도 힘을 쏟고 있다. 글로벌셔터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를 촬영할 때 생기는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이 대표는 “지난달 글로벌셔터가 적용된 130만 화소 이미지센서를 개발했다”며 “이 사양으로 영상처리칩(ISP)까지 내재화한 제품을 선보인 건 국내 최초”라고 말했다. 이미지센서에 ISP가 원칩으로 결합되면 모듈 크기가 작아지고 가격도 저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인공지능(AI) 기능을 적용한 전자기기가 많아지는 것 역시 픽셀플러스엔 기회다. 이 대표는 “타이핑, 음성인식 등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은 다양하다”며 “그중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건 이미지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AI산업 발전과 이미지센서 기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말했다.

성남=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