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유지에 필요한 대체출산율에 사상 첫 미달…"인구학적 겨울 근접"
'제2의 인구 전환' 다가오나…"거대한 개인주의 흐름의 영향"
범지구적 출산율도 빨간불…"작년 2.1명, 현상유지 불가 수준"
지난해 세계 출산율이 2.1명대로 떨어져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대체 출산율을 하회했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하고, 대체 출산율은 현재 인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출산율을 의미하는데 2.1명대로는 세계 인구가 현상을 유지하기 어렵다.

WSJ은 지구촌이 놀라운 인구통계학적 이정표를 맞이하고 있다면서 출산율이 소득, 교육, 노동력 참여 수준과 관계없이 거의 모든 국가에서 감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소득 국가에서는 이미 1970년에 출산율이 대체 수준 이하로 떨어진 데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더 낮아졌으며, 이제는 개발도상국에서도 감소세가 뚜렷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중국 출생아는 900만명으로 유엔 예측치보다 16% 적었고, 미국 출생아는 359만명으로 유엔 예측치보다 4% 적었다.

이집트는 작년 출생아가 전년보다 17% 감소했다고 발표했고, 케냐는 재작년에 18%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펜실베이니아대의 인구 경제학자 헤수스 페르난데스 빌라베르데 교수는 자체 분석을 통해 지난해 세계 출산율이 2.1∼2.2 사이로 떨어졌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역사상 처음으로 출산율이 대체 출산율보다 낮아진 것이라면서 "인구통계학적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범지구적 출산율도 빨간불…"작년 2.1명, 현상유지 불가 수준"
현재 세계 대체 출산율은 약 2.2명으로 부유한 국가에서는 2.1명, 개발도상국에서는 2.1명을 웃도는 수준이다.

유엔은 2017년 당시 76억명이던 세계 인구가 2100년 112억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가 2022년 전망을 바꿔 2080년에 104억명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 예상도 틀릴 가능성이 커졌다.

워싱턴대 건강측정평가연구소는 세계 인구가 2061년에 95억명으로 정점에 달한 후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세계가 '제2의 인구통계학적 전환'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18세기에 산업화된 국가에서 길어진 수명, 줄어든 아동 사망,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 및 노동 참여 등의 영향으로 출산율이 감소한 첫번째 인구통계학적 전환이 일어난 데 이어서 또 한번 역사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어닥쳤다는 것이다.

일부 인구학자들은 이런 변화가 결혼과 부모의 역할을 덜 강조하고 자녀를 적게 낳거나 아예 낳지 않는 것을 용인하는 개인주의가 부상하는 거대한 흐름의 일부로 보고 있다.

많은 국가가 저출산을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로 보고 있으며, 노동력 감소와 경제성장 둔화, 연금 부족 걱정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에서는 인구 감소로 초강대국으로서의 장기적 입지를 잃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한다.

다만, 각국이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지만, 지금까지 효과를 거둔 사례가 거의 없다고 WSJ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