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 사진=뉴스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 사진=뉴스1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이 '여의도 대통령'이죠. 역대 금융당국 수장과 비교해봐도 영향력·위세가 압도적이잖아요."

이복현 금감원장에 대한 여의도 증권가 관계자들의 평가는 대체로 엇비슷하다. 그만큼 이 원장의 향후 움직임에 대한 관심도 상당하다. 금융감독업무는 물론 조직 쇄신 작업도 어느 때보다 강도 높게 진행하고 있다. 이 원장 지시를 받아 금감원은 현재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컨설팅으로부터 조직문화 진단을 받고 있다. 이번 컨설팅을 바탕으로 젊은 직원들의 이탈 문제의 해법을 찾고, 조직·인사 부문의 취약점을 쇄신할 계획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딜로이트컨설팅과 최근 조직진단 컨설팅 계약을 맺었다. 딜로이트컨설팅은 다음 달까지 금감원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인터뷰를 실시한다. 이 같은 내용 등을 반영한 컨설팅 보고서를 만들어 금감원의 조직문화 개편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금융감독 관련 업무를 하면서 외부 컨설팅을 종종 받는다. 하지만 조직문화와 관련해 컨설팅을 의뢰한 것은 2017년 이후 7년 만이다. 딜로이트는 ➀전략 ➁조직 ➂인사·문화로 구분해 금감원의 문제점 전반을 진단하고 이에 근거한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전략의 경우 금감원의 비전·핵심가치 및 중장기 전략과제·계획을 딜로이트로부터 제언 받을 계획이다. 사전예방적 금융감독과 미래 감독수요 변화에 따른 적합한 조직체계도 제안받는다. 딜로이트는 금감원의 조직 활력을 북돋고, 근무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인사·문화제도 개선방안도 도출할 계획이다.

2030직원들의 줄이탈 사태에 대한 개선 방안도 담길 전망이다. 공직자윤리위원회 취업 심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금감원 퇴직자 13명이 취업 심사를 받았다. 이 중 절반인 8명이 MZ세대에 해당하는 4급이었다.

금감원의 2022년 평균연봉(1억1000만원)을 웃돈다. 억대 연봉이지만 민간기업보다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여기에 보수적 조직문화와 높은 근무 강도 등이 작용하면서 2030세대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