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028년 울산국제정원박람회 개최를 앞두고 관광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울산 국제정원박람회는 2028년 4월부터 10월까지 열린다. 울산시는 이 기간 13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울산을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 효과는 생산 유발 3조1544억원, 부가가치 유발 1조5916억원, 일자리 창출 2만5017명 등으로 추산했다.울산시는 태화강 인근 삼산매립장 일대에 건축면적 1만5000㎡, 연면적 5만㎡, 지상 5층, 3500석 규모의 공연장을 행사 개최 이전에 준공한다는 계획이다.김두겸 시장은 “사전 타당성 조사 결과와 중앙부처 협의 내용, 2028 울산국제정원박람회 유치 확정 등을 종합 검토해 삼산매립장을 최종 사업지로 결정했다”며 “울산을 ‘문화와 예술이 조화를 이루는 꿀잼도시’로 변신시키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전체 예산은 5000억원으로 예상했다. 사업 예정지인 삼산매립장 부지는 현대자동차 등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와 인접해 산업도시 정체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고 박람회 이후 문화시설 활용 가능성도 높다는 게 울산시 측 설명이다.최근 프랑스 출신의 세계적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가 삼산매립장 일대 공연장 건립 후보지를 둘러보고 울산의 역사적 맥락, 지형적 특성, 시민 문화 수요 등을 고려한 설계 방향 등에 관한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울산시는 사업비 100억원을 들여 2028년까지 국산 목재를 활용해 남구 남산로 문화광장~중구 십리대숲 일원 200m 구간에 ‘수상공중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에도 나선다.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반구천 암각화’ 일원에는 관광객이 선사시대 문화와 예술을 체험
부산시가 핀테크산업 육성에 195억원을 투입한다. BNK금융지주, SK플래닛, 하나카드 등이 참여하는 부산 핀테크 기업 파트너스 풀의 외연을 넓히고 부산 특화 신사업 발굴에도 나선다.부산시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핀테크산업 육성 계획’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핀테크 기업의 실질적 스케일업을 위해 공간·사업화 등 종합 지원책과 함께 각종 인프라 조성 사업에 195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이번 계획에는 유망 기업 20곳을 선정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이 담겼다. 강소기업의 수도권 이탈을 막기 위해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3단계 사업지에 전용 공간을 조성하고, 고성장 유망 기업에는 기존 인센티브(1000만원)를 1억원으로 상향해 지원한다.지역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 거점인 부산 핀테크허브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파트너스 풀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파트너스 풀에는 BNK금융지주, 하나카드, SK텔레콤, 유안타인베스트먼트, AON코리아, SK플래닛 등이 참가하고 있다. 시는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 등을 추가해 보증 연계 투자와 우대 보증 등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부산에 특화한 핀테크 신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시는 인슈어테크 관련 기업의 성장 사례를 벤치마킹해 적하보험의 디지털 전환 플랫폼을 개발하고 국내외 보험사 및 기업과의 협업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혁신도시 지역 내 스타트업의 임차료를 지원하고 사업 모델 핵심 프로그래밍 등 특화 교육과정도 신설한다.남동우 부산시 금융창업정책관은 “스타트업의 실질적 성장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금융위원회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핀테크 행사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