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투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최근 고액 자산가들은 부의 증식보다 상속, 증여 등 이전에 관심을 두고 있다. 특히 원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넘겨줄 수 있는 '유언대용신탁'을 찾고 있다는 전언이다. 최근 가입 금액을 낮춘 보급형 상품이 등장하며 일반인들로 이용자가 확대되고 있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유언대용신탁 잔액은 2024년 1분기 3조300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2조3000억원)에 비해 1조원 늘었다. 1인 가구가 늘어난 데다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전체 시장 파이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2022년 국내 상속·증여 재산 규모는 188조4214억원이었다. 5년 전인 2017년 90조4496억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큰 속도로 불어났다.

유언대용신탁은 위탁자가 살아 있을 때 예금이나 부동산, 주식, 채권 등의 자산을 금융사에 맡기는 서비스다. 금융사가 자산을 괸라하다가 위탁자가 사망하면 계약 내용에 따라 자산을 상속자에게 지급하는 구조다.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하지만 미국 등 해외에서는 널리 활용된다. 2009년 콘서트를 준비하던 중 사망한 팝가수 마이클 잭슨도 유언대용신탁을 이용했다.

고액 자산가가 유언대용신탁을 찾는 이유는 원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처분할 수 있어서다. 유언대용신탁은 상속인이나 상속 비율, 사망 이후의 지급 시기, 방법 등을 자유롭게 설계 가능하다. 사후에 재산을 한꺼번에 넘기지 않고 수차례에 걸쳐 상속할 수 있다는 의미다. 상속인이 특정 나이가 됐을 때 소유권을 넘겨주는 식으로도 활용된다.

유언장에 비해 상속 분쟁 가능성이 적은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유언장으로 상속을 결정하면 법적 효력을 놓고 분쟁이 벌어지기 쉽다. 자필 작성 여부, 날짜, 주소, 날인, 증인 등 어느 하나의 요건을 갖추지 못해도 무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형제, 자매가 받을 수 있는 유산 비율을 법으로 강제한 유류분 제도도 유언대용신탁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2010년 유언대용신탁이 첫 출시된 이후 은행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커졌다. 최소 가입 금액이 5억원 이상일 정도로 진입 장벽이 높았지만 보급형 상품도 등장했다. 1계좌당 1만원부터 가입할 수 있는 하나은행의 '가족배려신탁'이 대표적이다. 증권사도 이 시장에 발을 들이고 있다. 신영증권은 유언대용신탁을 주요 서비스로 둔 '패밀리 해리티지'를 출시했고, KB증권 역시 'KB인생신탁'을 내놓았다. 신한투자증권도 내년 출시를 목표로 유언대용신탁 상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유언대용신탁은 재산을 관리하는 금융사가 파산해도 신탁 자산은 보호된다. 금융사 별로 강점은 다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증권사 신탁의 장점은 투자중개업 라이선스로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자산 배분 및 포트폴리오가 용이해 고객의 성향에 맞는 다양한 운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지효 기자 jh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