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는 2021년과 2022년에 신형 스마트폰을 내놓지 못했다. 2019년 시작된 미국의 제재로 퀄컴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칩 등을 조달할 수 없어서다.

이랬던 화웨이가 지난 18일 인공지능(AI)폰 ‘퓨라70’을 출시했다. 화웨이의 계열사인 하이실리콘이 설계하고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SMIC가 제조한 AP를 비롯해 대규모언어모델(LLM)에 기반한 생성형 AI 서비스까지 적용했다. 15일 화웨이 선전 본사에서 만난 부사장급 임원은 “이 정도로 놀라기엔 이르다”며 “정보통신기술(ICT) 세상의 모든 분야에서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화웨이의 기술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10년간 216조원 R&D 투자

< 화웨이폰 ‘퓨라70’ 대히트 >  지난 18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화웨이 플래그십 매장에 신형 스마트폰 ‘퓨라70’을 보려는 중국인이 몰려 있다.   로이터
< 화웨이폰 ‘퓨라70’ 대히트 > 지난 18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화웨이 플래그십 매장에 신형 스마트폰 ‘퓨라70’을 보려는 중국인이 몰려 있다. 로이터
화웨이와 아랍에미리트(UAE) 간 밀착은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가 UAE AI 기업인 G42에 2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건 화웨이의 중동 접근을 차단하려는 미국 정부의 전략과 맞닿아 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화웨이의 AI 반도체에 대해 “미국보다 몇 년 뒤처져 있다”고 일축했지만 반도체업계에선 UAE가 화웨이를 선택하려 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개별 칩 성능은 떨어질 수 있지만 AI 칩으로 구축한 AI 시스템은 미국에 뒤지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 스마트카 사업 확장 >  화웨이는 2019년부터 완성차 업체와 협력하며 전기차를 개발하는 등 사업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화웨이 직원들이 스마트카에 장착할 설비, 소프트웨어 기술을 점검하고 있다.  화웨이 제공
< 스마트카 사업 확장 > 화웨이는 2019년부터 완성차 업체와 협력하며 전기차를 개발하는 등 사업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화웨이 직원들이 스마트카에 장착할 설비, 소프트웨어 기술을 점검하고 있다. 화웨이 제공
화웨이는 연구개발(R&D)에 회사 명운을 걸고 있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R&D에 투입한 금액만 1568억달러(약 216조원)에 달한다. 알파벳, 메타, MS에 이어 세계 네 번째로 R&D 투자 규모가 크다. 화웨이의 지난해 R&D 투자 금액(약 31조9812억원)은 국내 기업 중 R&D 투자 1위인 삼성전자의 지난해 투자 금액(약 28조3528억원)보다 약 13% 많다. 매출 대비 R&D 투자 비중도 화웨이가 삼성전자의 3배 이상이다. 인재 확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2019년 대만 반도체 인력(4만여 명)의 10%에 육박하는 3000여 명이 중국 본토로 넘어왔는데, 이 중 상당수가 화웨이에서 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원 55%가 R&D 인력

< 여기가 중국 맞아?  >  화웨이 옥스혼 R&D캠퍼스는 ‘핵심 공략처인 유럽의 특성을 잘 알아야 한다’는 취지로 유럽풍으로 조성됐다. 체코 프라하 카를교 다리를 본떠 지은 다리.   둥관=정지은 기자
< 여기가 중국 맞아? > 화웨이 옥스혼 R&D캠퍼스는 ‘핵심 공략처인 유럽의 특성을 잘 알아야 한다’는 취지로 유럽풍으로 조성됐다. 체코 프라하 카를교 다리를 본떠 지은 다리. 둥관=정지은 기자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회장이 광둥성 둥관에 옥스혼 R&D캠퍼스를 건설한 것도 R&D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다. 2019년 완공 후 화웨이 R&D 핵심 인력을 이곳으로 옮겼다. 컴퓨팅, 전자 등을 전공한 석·박사 출신이 대부분이다.

이들을 포함한 화웨이의 전체 R&D 인력은 11만4000여 명(작년 말 기준)에 달한다. 전체 직원에서 R&D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9%에서 지난해 55%로 뛰었다. 화웨이가 14만 건 넘는 기술 특허를 보유하게 된 비결이다.

반도체 사업도 계속 다각화하고 있다. 반도체 설계회사인 하이실리콘을 비롯해 반도체 계열 자회사만 12개를 거느리고 있다. 화웨이를 중심으로 중국 반도체 생태계가 조성된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지난 1월엔 10억위안(약 1904억원)을 출자해 스마트카 솔루션을 개발하는 신규 회사를 설립했다.

파워트레인도 개발…사업 다각화

반도체 자회사 12곳 거느린 화웨이…20년뒤 기술트렌드까지 '열공'
중국 시장을 평정한 화웨이의 눈은 이제 해외에 맞춰져 있다. 프랑스 동부 브뤼마트에 네트워크 장비, 소프트웨어 공장을 짓고 있다. 화웨이의 첫 유럽공장이다. 내년께 가동에 들어간다.

후허우쿤 화웨이 회장은 최근 발간한 연간리포트에서 “화웨이는 지난 3년간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여러 도전을 통해 성장하고 혁신했다”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칩, 디바이스, 네트워크, 클라우드 사업 간 시너지를 끌어올리기 위해 R&D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웨이가 반도체에 이어 또 다른 목표로 삼은 곳은 자율주행과 배터리다. ‘중국식 표준’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사 지하 1층엔 기술력에 대한 자신과 의지를 내보이는 콘셉트의 전시홀을 조성해놨다. 차량 속도를 0㎞에서 100㎞로 끌어올리는 데 3.5초밖에 걸리지 않는 파워트레인, 올해 신사업으로 뛰어든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선보였다. 모두 화웨이가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선전·둥관=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