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경기도 수원 세류1동제2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위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이 투표소가 위치한 세류1동은 이번 총선 직전 선거구 획정을 통해 ‘수원시 병’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이용규 인턴기자
10일 오후 경기도 수원 세류1동제2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위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이 투표소가 위치한 세류1동은 이번 총선 직전 선거구 획정을 통해 ‘수원시 병’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이용규 인턴기자
10일 치러진 제22대 총선에서 선거구가 막판에 변경된 지역의 유권자들이 혼란을 겪었다.

이날 경기도 수원 세류1동의 투표소에서 만난 유권자들은 대부분 “선거구 조정을 몰랐다”며 황당해했다. 세류1동은 지난 총선까지 ‘수원시 무’ 지역구였으나 이번 선거에서 ‘수원시 병’으로 조정됐다.

"투표용지를 받아들고 보니 이름이 낯설었다"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투표를 마치고 나오던 박모씨(73)는 “나는 그나마 야당 후보가 문자메시지를 보내 알았다”며 “생활권이 다른 지역을 합쳐 달갑지 않은데, 왜 우리는 모르게 하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현상이 발생한 까닭은 국회가 이번 총선에서도 투표가 임박한 시점에 선거구를 획정했기 때문이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국회의원 법정 선거구 획정 기한은 선거일로부터 12개월 전이지만, 여야 합의가 늦어지면서 투표 42일 전에야 선거구가 획정됐다.

유권자들의 정당한 권리 구제를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조원빈 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선거구 획정 문제에 대해서는 “선거 12개월 전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기존 선거구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며 “위헌 법률이 개정되지 않으면 소멸되듯, 강제조항을 부여해야 유권자 혼란이 적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용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