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경DB
사진=한경DB
네이버·카카오가 알리·테무 등 중국 직구 플랫폼의 공세와 불안정한 업황 속에서도 핵심 사업 성장세를 지켜낸 것으로 보인다. 광고·커머스 사업 부문 매출이 업계 안팎의 우려와 달리 견조한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네이버의 올 1분기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매출 2조5083억원, 영업이익 3889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각각 10%, 18% 정도 증가하는 수준이다.

네이버는 광고 부문에서 무난한 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 전망을 종합하면 검색광고(SA) 매출은 부침 없이 평탄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 광고(DA) 부문에서는 네이버 앱 개편, 숏폼 탭(클립) 신설 등의 영향이 매출을 끌어올렸다는 관측이다. 네이버 앱 홈 영역 피드형 광고 상품이 지난해 11월 출시됐고 클립 영역 안에서는 신규 광고들이 노출되기 시작한 것. 네이버 앱에 시범 도입된 전면형 디스플레이 상품 '쇼케이스 광고'는 올 1분기에만 20회 가까이 집행됐다.

커머스 부문은 아직 중국 직구 플랫폼의 직접적 영향권에 들어오지 않았다는 분석이 다수다. 직전 분기와 비슷한 매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경쟁 심화·네이버쇼핑 거래액(GMV) 성장률 둔화 등이 악재로 꼽히지만 개인 간 거래(C2C) 플랫폼 포시마크의 광고 매출이 증가한 데다 도착보장 서비스 수익화 효과가 반영되면서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카카오의 컨센서스는 매출 2조581억원, 영업이익 138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8.3%, 영업이익은 94.7% 늘어나는 셈이다.

카카오의 전체 광고 부문 매출은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메시지 광고인 톡채널 수가 꾸준하게 늘면서 전체 광고 매출을 끌어올렸다는 관측이다. 톡채널 광고는 상대적으로 마진이 큰 상품으로 꼽힌다.

디스플레이형 상품인 비즈보드 부문 매출은 광고시장이 비수기에 들어서면서 다소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는 분석이다.

커머스 실적을 포함한 거래형 매출도 직전 분기와 유사한 성장폭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 카카오 거래형 매출은 중국 직구 플랫폼 공세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국내 커머스 경쟁 상황의 영향도 크제 받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네이버와 카카오 모두 콘텐츠 부문에서는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적지 않다.

양사는 핵심 사업 부문에서 빠른 시장 대응으로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면서 AI 등 신사업 분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네이버는 책임리더·리더로 구분했던 중간 관리자 직급을 '리더'로 통일했다. 또 5개 사내독립기업(CIC)을 본사 내 12개 전문 조직으로 다시 꾸렸다.

카카오도 관리자 직급 체계를 5단계에서 2단계로 개편해 빠르고 명확한 의사결정 구조를 갖췄다. 커머스CIC는 본사로 흡수했고 다음CIC는 콘텐츠CIC로 개편했다. AI 기술·서비스 관련 팀들을 모은 통합 조직도 띄웠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