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의대 가려는 지금, 대한민국 과학계 리더 될 절호 기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준호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장 인터뷰…이공계 인재 유출 우려
"의대 준비생 6천명 넘을 것…연구중심대학 이공계 신입생 규모" "성적 좋은 학생들이 모두 의대에 가려고 하는 지금이 절호의 기회입니다.
과학자로서 길을 가기 시작하면 10년, 20년 뒤 대한민국 과학계를 이끌어갈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장인 이준호 원장은 28일 연합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최근 의대 증원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이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지금은 '발상의 전환'을 해 의대가 아닌 자연대나 공대에 진학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할 때라는 것이다.
이 원장은 그러면서 의대 증원과 관련해서는 쓴소리를 빼놓지 않았다.
그는 "가장 의대를 많이 보내는 학교는 서울대 공대라는 농담이 있었는데, 이제는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며 "당장 내년부터 과학 분야 종사자 확보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이 원장은 "21세기 과학기술은 열심히만 해서 발전되는 게 아니고, 인재들이 와야 기술패권 시대에 우리나라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정부의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정책이 이공계 인재 유출을 가속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원장은 증원 규모인 2천명만큼만 이공계 인재가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고, 반수생 등 의대 준비생까지 포함하면 정원의 최소 3배수(6천명)는 모두 유출 인재로 추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서울 지역 연구중심 대학 이공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의 신입생 정원을 합친 7천500여명과 엇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도 의대정원 확대와 더불어 '과학기술계의 치명적인 원투펀치'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올해 R&D 예산을 전년보다 5조2천억원(16.6%) 삭감한 25조9천억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는데, 국회 논의 과정에서 그나마 6천억원 증액돼 최종 통과됐다.
이 원장은 "액수도 문제지만, 정부와 과학기술자 간 신뢰가 깨진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언제라도 정부가 설명없이 예산을 깎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 과학자들이 연구실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실제로 내 연구실 학생 중에서도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기 위해 미국으로 떠난 뒤 '돌아오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조금 더 강해졌다'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 같은 과학기술계의 위기 속에서 자연대와 공대에 파격적인 지원을 하지 않으면 학계가 쓰러져서 일어나지 못할 것이라며 올해가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기초과학은 곧바로 국가의 기술 패권이 된다"며 "과학에도 분명히 국경이 있는데, 선진국 기초과학을 응용하려고 가져오면 그 국가에 종속되고 눈칫밥을 먹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현실에도 의대 증원을 밀어붙이고자 한다면 정부는 과학계 종사자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정책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올해 30억원 예산을 책정해 대학원생 120명이 대통령과학장학금을 받게 됐다고 홍보한 것과 관련해서는 "규모를 대폭 늘려야 한다.
1천200명에 장학금을 줘도 모자란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의대 준비생 6천명 넘을 것…연구중심대학 이공계 신입생 규모" "성적 좋은 학생들이 모두 의대에 가려고 하는 지금이 절호의 기회입니다.
과학자로서 길을 가기 시작하면 10년, 20년 뒤 대한민국 과학계를 이끌어갈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장인 이준호 원장은 28일 연합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최근 의대 증원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이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지금은 '발상의 전환'을 해 의대가 아닌 자연대나 공대에 진학하는 것을 진지하게 고려할 때라는 것이다.
이 원장은 그러면서 의대 증원과 관련해서는 쓴소리를 빼놓지 않았다.
그는 "가장 의대를 많이 보내는 학교는 서울대 공대라는 농담이 있었는데, 이제는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며 "당장 내년부터 과학 분야 종사자 확보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이 원장은 "21세기 과학기술은 열심히만 해서 발전되는 게 아니고, 인재들이 와야 기술패권 시대에 우리나라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정부의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정책이 이공계 인재 유출을 가속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원장은 증원 규모인 2천명만큼만 이공계 인재가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고, 반수생 등 의대 준비생까지 포함하면 정원의 최소 3배수(6천명)는 모두 유출 인재로 추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서울 지역 연구중심 대학 이공계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의 신입생 정원을 합친 7천500여명과 엇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도 의대정원 확대와 더불어 '과학기술계의 치명적인 원투펀치'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올해 R&D 예산을 전년보다 5조2천억원(16.6%) 삭감한 25조9천억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는데, 국회 논의 과정에서 그나마 6천억원 증액돼 최종 통과됐다.
이 원장은 "액수도 문제지만, 정부와 과학기술자 간 신뢰가 깨진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언제라도 정부가 설명없이 예산을 깎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 과학자들이 연구실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실제로 내 연구실 학생 중에서도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기 위해 미국으로 떠난 뒤 '돌아오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조금 더 강해졌다'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 같은 과학기술계의 위기 속에서 자연대와 공대에 파격적인 지원을 하지 않으면 학계가 쓰러져서 일어나지 못할 것이라며 올해가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기초과학은 곧바로 국가의 기술 패권이 된다"며 "과학에도 분명히 국경이 있는데, 선진국 기초과학을 응용하려고 가져오면 그 국가에 종속되고 눈칫밥을 먹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현실에도 의대 증원을 밀어붙이고자 한다면 정부는 과학계 종사자들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정책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올해 30억원 예산을 책정해 대학원생 120명이 대통령과학장학금을 받게 됐다고 홍보한 것과 관련해서는 "규모를 대폭 늘려야 한다.
1천200명에 장학금을 줘도 모자란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