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병동 운영' 대폭 축소해 버티기…"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몰라"
서울대병원 단기 암병동 환자, 다른 병동으로 옮겨…암환자 진료마저 연기
환자 피해 '눈덩이'…피해신고 상담 623건으로 늘어
정부 "일부 전공의 복귀"…현장선 "체감하기 어려워"(종합)
정부가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집단사직한 전공의들에 오는 29일까지 돌아오라고 마지노선을 제시했지만, 전공의들의 대거 복귀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일부 병원에서 전공의들이 꽤 복귀하고 있다고 파악했지만, 현장에서는 이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분위기이다.

의료계는 이달 말까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희망을 내비치면서도, 현장에 남아있는 인력의 피로도가 극에 달한 수준이라고 토로한다.

정부 "일부 전공의 복귀"…현장선 "체감하기 어려워"(종합)
◇ 수술·입원 잇단 축소…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 상담 건수 누적 623건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시내 주요 병원에서 대부분의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는 데다, 내달부터 수련을 시작해야 하는 '막내 전공의'인 인턴들마저 대부분 임용을 포기한 여파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주요 병원은 외래 진료와 입원, 수술 등을 50%가량 연기·축소하며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급하지 않은 수술과 외래는 모두 뒤로 미루고, 응급·위중증 환자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진료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응급실 단기병동과 암 단기병동에 있던 환자를 다른 병동으로 옮기는 등의 조치를 진행 중이다.

전반적인 수술이 축소되면서 신규 입원 환자가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응급실 단기병동은 응급실로 내원해 입원 절차를 받으려는 환자들이, 암 단기병동은 하루 이틀 입원해 항암 치료를 받으려는 암 환자들이 주로 머문다.

현장에서는 사실상의 '병동 폐쇄'라고 봤지만, 병원 측은 "폐쇄라기보다는 환자가 줄면서 병동 운영을 효율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응급실·암 단기병동에 아직 남아있는 환자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암 환자의 수술과 항암 치료, 외래진료 등이 밀리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환자들의 불안과 불만도 커지고 있다.

서울대병원에서 혈액암 외래 진료를 받는 한 환자의 보호자는 전날 병원으로부터 '3월 4일 ○○○ 교수님 외래가 폐쇄될 예정이며, 교수님 확인 후 순차적으로 변경 일정을 안내해드리겠다'는 문자를 받았다며 허탈해했다.

서울대병원은 진료과별로 교수들의 외래 진료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로 파악된다며, 전체 폐쇄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현재 진료과별 인력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치 중이라고 했다.

서울대병원 외 나머지 '빅5' 병원인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상황도 마찬가지다 보니 환자들의 시름만 깊어지고 있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요청된 상담 수는 78건이고, 이 중 51건은 피해신고서를 접수했다.

신고센터는 지난 19일부터 전날 오후 6시까지 총 623건을 상담했다.

피해신고서가 접수된 278건 중에서는 수술 지연이 207건으로 가장 많았고, 진료 취소 29건, 진료 거절 28건, 입원 지연 14건 순이었다.

정부 "일부 전공의 복귀"…현장선 "체감하기 어려워"(종합)
◇ 남아있는 의사 '번아웃' 위기…"지금도 겨우 견디고 있다"
전공의들의 집단사직과 근무 중단이 일주일을 넘기면서 현장에 남아있는 의사들의 번아웃(탈진) 위험도 현실화하고 있다.

현재 각 병원은 전공의의 빈 자리를 전임의와 교수들로 메우며 버티는 중이다.

이들이 외래 진료와 수술, 입원 환자 관리, 야간 당직을 모두 도맡다 보니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게 병원 측 설명이다.

전임의는 전문의를 취득하고 병원에 남아 연구와 진료를 이어가는 의사로, 임상강사나 펠로라고도 불린다.

'빅5' 병원 소속의 조교수는 "말 그대로 턱밑까지 온 상황"이라며 "펠로들의 업무 부담도 상당하고, 교수들도 지난 주말부터 주야간 당직을 계속하는 상황이어서 더는 못 버티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 사직서 제출을 고민하진 않고 있지만, 주위에 이번 주까지만 일하고 병원을 떠나려는 전임의들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서울시내 한 상급종합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인턴 2명, 레지던트 2명까지 해서 5명이 할 일을 나 혼자 하는 중"이라며 "경증 환자는 다 돌려보내고 중증 환자 위주로 보는데, (예전과 비교하면) 응급실 환자의 절반에서 3분의 1밖에 볼 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상급종합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출산 후에는 짧은 시간에 여러 처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필요한데, 일단 이걸 교수 혼자 한다는 건 힘든 걸 떠나 환자에게도 위험한 일"이라며 "지금 일주일 넘게 견딘 것도 겨우 견딘 건데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정부 "일부 전공의 복귀"…현장선 "체감하기 어려워"(종합)
◇ 인턴 임용 포기 '번복' 드물어…"일단 기다리겠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이달 말에서 내달 초가 현장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민수 복지부 차관은 이날 "복귀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를 집계하기가 어렵다"면서도 "일부 병원에서는 전공의들이 꽤 복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복귀하는 전공의를 찾아보기 힘들어 이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분위기이다.

정부가 "전공의들이 29일까지 복귀하면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겠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현 상황에서는 전공의들이 돌아올 만한 '명분'이 없다는 게 의료계의 진단이다.

빅5 병원 관계자는 "단순히 돌아오라고 해서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거 같다"며 "협의체를 구성하든, 다른 행동을 취하든 29일까지 전공의들이 돌아올 명분을 줘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빅5' 병원의 예비 인턴 대다수가 임용을 포기한 가운데, 이를 번복한 사례도 많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부분 병원은 우선 기다려 본다는 입장이다.

빅5 병원 인턴의 90% 상당이 수련을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으나, 이들에게도 '생각할 시간'을 줘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시내 한 병원 관계자는 "내달 1일자로 수련을 시작하므로 조금 시간이 있다"며 "병원 내부에서는 차분히 기다려보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