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전문가들은 26일 윤곽을 드러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안착을 위해 기업이 중장기 성장 여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이날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1차 세미나’에서 “일본 도쿄증권거래소는 최근 기업에 단기 주가순자산비율(PBR) 개선에 치중하기보다 중장기 지표를 개선하도록 권고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 상장사도 PBR과 자기자본이익률(ROE) 지표 개선에만 치중하지 말아야 한다”며 “기업에 적합한 다양한 투자 지표, 수익 지표를 고려해 중장기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것은 주주환원·ROE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인 만큼 특정 지표 하나를 개선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크다는 의미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선 자사주 매입 효과를 끌어올려야 한다”며 “매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가총액 산출 과정에서 발행 주식 수가 아니라 해외처럼 유통주식 수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스닥시장 상장사에 적합한 기업가치 향상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권재열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벤처·바이오 등 모험자본 기업이 많이 소속된 코스닥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짜야 한다”며 “코스닥 상장사 이사회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의 주주친화책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섭 국민연금공단 수탁자책임실장은 경영진이 밸류업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당근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권한과 책임이 있는 이사회가 직접적으로 관여해야 한다”며 “등기 임원 및 경영진의 보수를 기업가치 개선 성과와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