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GIST 공동연구팀 "동물실험서 항암 활성 효능 확인"
간암 치료제 내성 극복 'SIRT7 단백질' 저해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간암 표준 항암제인 '소라페닙'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 표적 단백질인 'SIRT7' 저해제를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정관령 박사팀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류동렬 교수 연구팀이 간암 치료의 장애물인 SIRT7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는 저해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단백질은 종양이나 암세포 사멸을 늦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암 증식과 관련한 다양한 인산화효소 조절 방식의 기존 표적 항암제와는 작용 구조가 다른 SIRT7 억제 방식의 화합물을 발굴했다.

또 이 화합물이 암 치료의 장애가 되는 SIRT7을 줄여 항암 활성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개발한 저해제를 소라페닙에 내성이 있는 실험동물에 투여하자 항암 효과가 나타났다.

SIRT7 저해제와 소라페닙 약물을 함께 투여한 동물군에서는 종양 크기가 더 감소했다.

연구팀은 국내 제약회사와 함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항암제를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약리학 및 약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드럭 리지스턴스 업데이트즈' 다음 달 호에 실린다.

/연합뉴스